[사설] 채점표를 조작해 교사 뽑은 광주시교육청

[사설] 채점표를 조작해 교사 뽑은 광주시교육청

입력 2011-12-16 00:00
업데이트 2011-12-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역교육청이 사립학교 교사들을 공립 교사로 특채하는 과정에서 점수를 조작하는 수법으로 합격자를 바꿔치기한 사실이 교육과학기술부 감사에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지난 2월 사립 중·고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공립 특채 공고를 낸 뒤 공모에 응한 D여고 등의 교사 10여명을 심사해 6명을 최종 합격시켰다. 이 중 5명은 전교조 소속으로 이 학교가 교비 15억원을 횡령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재단 측과 갈등을 빚어 왔다고 한다. 문제는 당초 합격 대상자로 지목된 교사가 빠진 것을 뒤늦게 알고 심사위원들을 불러 재채점을 통해 합격자를 바꿨는데, 합격을 통보받은 교사가 다시 불합격 처리되면서 사건이 수면 위로 불거지게 됐다.

관할 학교법인과 일선 학교를 제대로 관리·감독해야 할 위치에 있는 지역교육청이 점수를 조작하는 수법으로 특정 교사들을 대거 선발한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처사다. 선발 규정 위반은 물론 도덕적 해이의 극치로 보여진다. 이번 사태를 그냥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라고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선 지역교육청과 해당 학교법인 사이의 유착관계 여부다. 시 교육청은 해당 학교법인이 외고를 만들기 위해 학급 수를 줄이는 바람에 사립학교 교사 정원을 넘는 ‘과원’(過員)이 발생해 공립학교로 파견을 보냈다가 이번에 공립교사로 특채했다고 한다. 하지만 해당 학교법인이 외고를 만들겠다는 진정성을 찾기 어렵고 합격자 대다수가 학교법인의 횡령 의혹을 제기한 전교조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양측 간에 석연치 않은 점이 발견된다. 시 교육청이 학교법인의 요청으로 사사건건 문제를 삼는 교사들을 공립 교사로 특채했다는 의혹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교과부는 특채 과정에 위법성이 있는 만큼 책임자를 엄중 문책해야 한다. 외고 설립에 대한 해당 학교법인의 해명이 명쾌하지 않다면 추가적인 진상조사를 벌일 필요가 있다. 뚜렷한 물증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해서 포기하면 안 된다. 끝까지 추적해 학교법인의 잘잘못을 찾아내야 한다. 그래야 이 같은 일이 다른 지역교육청에서 재발하지 않을 것 아닌가. 선발과정의 투명성을 좀 더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2011-12-1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