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독도 위치도 제대로 못 가르치는 학교교육

[사설] 독도 위치도 제대로 못 가르치는 학교교육

입력 2013-08-09 00:00
업데이트 2013-08-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도 내 초·중·고교생 10명 중 1명은 독도에 대해 정확한 위치를 모르거나 서해나 남해에 있는 섬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교육청의 설문조사 결과 도내 초·중·고교생 응답자 6400명 중 13.2%가 ‘독도는 어디에 위치한 섬인가요’라는 질문에 ‘잘 모른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6.9%는 ‘잘 모른다’, 4%는 ‘서해’에, 2.3%는 ‘남해’에 있다고 답했다. 지난 6월 서울신문의 ‘청소년 역사인식’ 설문조사에서 청소년들의 69 %가 6·25전쟁을 ‘북침’이라고 응답해 충격을 줬었는데, 이번 역시 독도에 대한 학생들의 역사적 무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걱정스럽기만 하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학생들의 독도 관련 정보 취득이 학교가 아닌 TV 뉴스나 인터넷 등을 통해 얻어진다는 사실이다. 일본 정부가 최근 일본인 10명 중 6명이 ‘독도는 일본땅’이라고 생각한다는 불순한 의도의 여론조사까지 동원해 독도 영유권 주장을 자국민들에 주입시키는 마당에 도대체 우리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뭘 가르치고 있단 말인가. 일본은 교과서를 통한 왜곡 교육은 물론 이제는 내각에 독도 전담부서를 두고 독도 영유권 주장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국제사회에서의 홍보도 적극적이다. 이 모든 것은 독도를 분쟁지역화해서 국제사법재판소에서 다퉈 보자는 흑심에서 비롯됐다.

그렇기에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의 고유영토라는 점을 대한민국 국민들이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어야 한다. 특히 앞으로 일본과 경쟁해야 할 청소년이라면 더더욱 독도에 대한 기초 상식 정도는 줄줄 꿰야 한다. 교육당국은 이번 조사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경기도뿐 아니라 다른 지역 학생들의 독도에 대한 역사인식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학교가 역사 교육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경기도교육청은 설문조사에서 ‘서해’ 대신 ‘황해’라는 표현을 썼다. 황해(黃海)란 중국 황하강의 흙탕물이 우리 서해에 흘러들어 바다 빛깔이 황톳빛을 띤다 하여 이름 붙여진 것이다. 은연중 중국의 관점에서 우리 영토와 면한 바다를 표현하는 것 역시 교육당국으로서 깊이 있는 역사인식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2013-08-09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