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적절한 발언한 박능후 장관, 사과해야

[사설] 부적절한 발언한 박능후 장관, 사과해야

입력 2020-02-27 18:06
업데이트 2020-02-28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내 코로나19 사태의 원인을 ‘중국에서 들어온 한국인’이라고 발언해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 박 장관은 어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왜 중국인 입국 금지 조치를 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가장 큰 원인은 중국에서 들어온 한국인”이라고 부적절한 답변을 내놓았다. 자칫 코로나19의 발병지가 한국으로 오인될 수도 있을 지경이다. 코로나19 확산세에 온 국민이 놀라고, 의료진의 사투가 곳곳에서 벌어지는데 중앙사고수습본부장은 사태의 피해자인 국민을 ‘문제의 원인’으로 몰아세우며 갈등을 부추긴 것이다. 정의당도 “코로나19 발원지가 중국임을 배제하고 감염 피해자인 자국민에게 책임을 돌리는 듯한 인상을 주는 경솔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박 장관은 자신의 발언에 대해 마음을 담아 공식적으로 사과하길 바란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들이 적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박 장관의 발언은 경질의 원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박 장관 이전에도 정부여당의 ‘망언’으로 국민의 마음에 많은 생채기가 나 있다. 홍익표 전 대변인이 ‘대구·경북 봉쇄’를 무신경하게 발언해 사퇴했고, 마스크 대란 사태인데도 박광온 최고위원은 “한국 국가체계가 잘 작동하고 있다. 정권이 잘 대처하고 있다”고 자화자찬했다.

더불어 박 장관이 “대한감염학회가 중국 전역의 입국금지를 추천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대목도 해명이 필요하다. 감염학회는 “후베이성 제한만으로는 부족하다. 위험지역 입국자들의 제한이 필요하다”는 권고문을 지난 2일 냈고, 대한감염학회 등 3개 학회도 지난 15일 제2차 대정부 권고안에서 더 높은 수위의 입국제한을 재차 권고했다. ‘추가적 제한’ 권고를 어떤 기준으로 수용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국민에게 소상하게 밝혀 ‘중국 봉쇄’ 관련 논란을 종식시킬 필요가 있다.

2020-02-28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