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확대 G7에 한국 포함 반대하는 일본, 옹졸하다

[사설] 확대 G7에 한국 포함 반대하는 일본, 옹졸하다

입력 2020-06-28 20:52
업데이트 2020-06-29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정부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확대해 한국을 참여시키는 구상에 관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고 교도통신이 어제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문재인 정권이 남북 화해를 우선시하며 친중국 성향을 보인다’고 문제 삼았으며 일시적 참석은 상관없다고 한 것이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는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화 회담에서 G7에 대해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며 한국을 참여시키고 싶다”며 공식화했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유일한 G7 회원국이라는 지위를 유지하고 싶어서 반대할 것이라는 예측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또 한국이 국제무대에서 역사 문제를 제기할 것을 경계한 측면도 있어 보인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올해 첫 국회 연설에서 한국에 대해 “기본적 가치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중요한 이웃”이라고 했다. ‘한국과 긴밀한 연대’라는 짧은 언급이 전부였던 지난 6년과 비교하면 관개 개선의 의도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아베 총리의 발언과 달리 최근 도쿄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군함도(일명 하시마)의 강제 노역을 은폐하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여전히 반성 없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2015년 7월 하시마 탄광 등 메이지 시대 산업시설 23곳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등의 강제 노역을 인정하고 희생자들을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확대 G7 정상회의를 대하는 아베 정부의 옹졸함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1년이 지나도록 철폐하지 않는 행태로 이어진다. 일본은 역사 문제에 대한 자기반성은 물론 북한 미사일의 방파제 역할을 하는 한국의 중요함을 다시금 깨달아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한일 관계의 신뢰는 좀처럼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다.

2020-06-29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