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와중에 추가 확인된 돼지열병, 방역 강화해야

[사설] 코로나 와중에 추가 확인된 돼지열병, 방역 강화해야

입력 2020-10-12 17:40
업데이트 2020-10-13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역 당국이 그제 강원 화천군의 양돈농장 1곳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양성 판정이 추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8일에는 이곳에서 2.1㎞ 떨어진 양돈농장에서도 3마리의 돼지가 ASF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ASF 추가 발생은 지난해 10월 9일 이후 꼭 1년 만이다. 방역 당국은 ASF가 발생한 돼지농장 반경 10㎞ 내의 사육돼지 2460여 마리를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했고 경기와 강원 북부 인접지역의 양돈농장 375호에서 채취한 돼지 시료를 정밀검사하고 있다.

지난해 9월 경기 파주시에서 국내 처음 ASF가 발생 한 이후 김포시, 연천군, 인천 강화군 등지로 급속히 번져 20여일 만에 약 43만여 마리의 사육 돼지가 살처분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방역 당국은 ASF의 감염원으로 야생 멧돼지를 지목하고, 이동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휴전선 접경지역 17개 읍면에 519㎞에 이르는 철제 울타리를 설치했다. 또 그동안 접경 지역에서 2만 8000여마리의 야생 멧돼지를 포획하는 등 ASF 확산을 막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 포획 멧돼지에서 무려 740건 이상의 ASF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잘 알려진 대로 ASF는 치료제가 없는 데다 치사율은 100%에 가까운 무서운 돼지 전염병이다. 예방 이외에 달리 뾰족한 방법이 없다. ASF가 1년여 만에 다시 발생한 것은 야생 멧돼지의 차단벽이 뚫렸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추가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방역 당국은 멧돼지의 이동경로 차단 등 방역에 한치의 허점을 보여서는 안 된다. 필요하다면 철제 울타리 설치도 확대해야 한다. 무엇보다 양돈 농가들은 축산차량을 비롯해 이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외부인의 방문을 철저히 통제하는 등 방역준칙을 엄격히 따라야 한다. 지금 국민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지친 상태이다. ASF가 국민에게 또 다른 걱정거리가 되지 않도록 방역 당국의 분발을 촉구한다.

2020-10-1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