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직 대통령 잘못 사과”해야 미래가 열린다

[사설] “전직 대통령 잘못 사과”해야 미래가 열린다

입력 2020-12-07 20:40
업데이트 2020-12-08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잘못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지난 6일 기자들에게 대국민 사과 의사를 밝혔고, 7일에는 비대위원들에게도 사과 계획을 표명했다고 한다. 9일은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박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가결한 지 4년째 되는 날이다. 한국 정치사에서 전직 대통령의 잘못에 대해 당사자는 물론 그들이 소속한 정당조차도 국민에게 사과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김 위원장의 시도는 새로운 정치사를 쓴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12·12 쿠데타와 5·18 광주시민학살사건과 비자금 조성 등에 대해 대법원에서 유죄판결을 받았지만 한 번도 잘못을 인정하지도, 사과하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김영삼 정부에서 사면을 받았다. 이 전 대통령도 지난 10월 뇌물·횡령 등의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17년 및 벌금 130억원을 확정받았음에도 사과는커녕 “나는 구속할 수 있어도 진실을 가둘 수는 없다”며 결백을 주장했다. 박 전 대통령 역시 입법부와 헌법재판소에 의해 탄핵이 확정된 데 이어 지난 7월 파기환송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음에 따라 대법원 유죄 확정이 기정사실화됐지만, 지금껏 사과 한마디 없다. 이런 와중에 국민의힘에서 사면론을 제기하니 공감을 못 얻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대국민 사과 계획에 대해 당내에서 반발하고 있다. 장제원 의원은 “절차적 정당성도 확보하지 못한 명백한 월권”이라며, 서병수 의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덮어씌운 온갖 억지와 모함을 걷어내고 재평가한 후에 공과를 논해도 늦지 않다”며 반발했다. 그러나 법치주의를 솔선수범해야 할 국회의원들이 사법부의 최종 판결까지 부정하는 것은 헌정질서를 우롱하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김 위원장의 대국민 사과는 미래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이자 그 자체로 용기 있는 결단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강성 지지층 눈치만 볼 게 아니라 김 위원장의 사과에 적극적으로 동의하고 합류하길 바란다. 국민도 ‘국민의힘’의 용기와 노력을 높이 평가할 것이다.

2020-12-0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