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큼 다가온 ‘산유국의 꿈’, 자원 확보 더 힘써야

[사설] 성큼 다가온 ‘산유국의 꿈’, 자원 확보 더 힘써야

입력 2024-06-04 02:42
업데이트 2024-06-04 0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 동해 석유·가스 매장 관련 국정브리핑
윤석열 대통령, 동해 석유·가스 매장 관련 국정브리핑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정브리핑에 참석해 동해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최대 140억 배럴의 천연가스와 석유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1990년대 후반에 발견된 동해 가스전의 300배가 넘는 규모이고,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넘게 쓸 수 있는 양”이라고 언급했다. 매장 가치는 현시점에서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규모로 추정된다고 한다. 고유가·고물가·고환율 등으로 신음하는 국민에게 낭보가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는 1966년부터 국내 해저 자원에 대한 석유·가스전 탐사를 해 왔다. 1990년대 후반 동해에서 4500만 배럴 규모의 가스전을 최초로 발견해 2004년부터 2021년까지 상업생산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동해 가스전 주변을 탐색해 천연가스뿐 아니라 35억 배럴로 추정되는 석유 생산의 길까지 연 것은 값진 성과다. 특히 미중 패권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불안,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으로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출렁이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번 물리탐사 결과는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각별한 의미가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에너지 수급 불안정으로 세계 각국이 자원을 무기화하는 현실에서 정부는 세계적 에너지 기업들을 유치하는 등 자원외교를 활성화하는 데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리탐사 이후에도 탐사시추, 상업개발 과정이 남아 있어 아직 갈 길은 멀다. 반면 각국의 원자재 확보 경쟁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전기차, 풍력발전에 필수인 희토류와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리튬, 코발트는 당장 내년부터 수요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산유국의 꿈에 반색하기만 할 게 아니라 자원확보 전쟁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2024-06-04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