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동률의 아포리즘] 한동훈은 질경이에게 배워라

[김동률의 아포리즘] 한동훈은 질경이에게 배워라

입력 2024-04-29 03:22
업데이트 2024-04-29 0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닥에 납작 엎드려 살아남고
밟히면 발바닥에 씨앗 묻혀 번식
한계를 기회로 바꾸는 지혜의 풀
절박함에서 인생 바꿀 기회 얻길

마당 있는 집에 사는 사람에게 사월은 팽팽한 긴장감을 안긴다.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지를 읽는” ‘사월의 노래’는 지극히 로맨틱하다. 오히려 사월은 만물이 생존경쟁에 돌입하는 계절쯤 된다. 그리고 단독주택에 사는 사람은 마당에 나서야 한다. 하루가 다르게 날이 따뜻해지면 하루가 다르게 할 일이 많아진다. 바로 잡초와의 전쟁이다.

잡초의 대장주는 민들레다. 누구는 민들레꽃을 두고 보기도 예쁘고 쓸모도 많다고 한다. 하지만 내게는 엄청난 스트레스다. “님 주신 밤에 씨를 뿌리고/사랑의 물로 꽃을 피운 게” 중요한 게 아니다. “일편단심 민들레가 끝끝내 마당을 떠나지 않는다”는 데 방점이 있다. 구로공단 어느 공장 앞에서, 광화문에서, 신촌에서, 장소를 구별하지 않고 민들레는 거친 틈에 산다. 심지어 도심 아스팔트 틈에서도 노랗게 비집고 올라온다. 봄이면 어디서나 볼 수 있고 어떤 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억세고 질긴 덕분에 민주화 세대에게는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래서 맘 편하게 파내질 못한다.

민들레를 가만히 보면 밟아 보라는 듯 빤히 쳐다보는 것 같다. 험악했던 70, 80년대 박노해의 시에 곡을 붙인 민중가요 ‘민들레처럼’을 열심히 불렀다. “민들레꽃처럼 살아야 한다/(중략)/무수한 발길에 짓밟힌대도/민들레처럼//(중략)/온몸 부딪히며 살아야 한다/민들레처럼//특별하지 않을지라도/결코 빛나지 않을지라도/흔하고 너른 들풀과 어우러져.” 노래를 들으며 잠시 먹먹해지다가도 뽑을 생각을 하면 갑갑해져 온다. 그러나 어쩌겠는가? 마당이 있는 집에 살려면 사월에 마땅히 치러야 할 통과의례다.

이처럼 밟히면서도 잘 자라는 식물이 있다. 보리나 잔디도 그렇다. 밟아도 본래대로 돌아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밟아서 생기는 상처에도 아주 강하다. 이런 특징 때문에 정원이나 골프장, 운동장에 밟히기 위한 식물로 널리 이용된다.

한데 이런 식물들 가운데서도 특히 센 것이 있다. 질경이다. 내가 살던 시골에서는 질경이를 두고 ‘빼뿌쟁이’라고 불렀다. 발음도 세다. 경음이 두 개나 있다. 질경이라는 표준어도 범상치 않다. 아마 질기다는 말에서 파생됐을 것이라고 짐작해 본다. 웬만큼 밟아도 전혀 위축되지 않는다. 뿌리째 뽑아야 되는데 상당한 힘을 써야 한다. 번식력도 아주 강력하다. 마당에 여기저기 솟는 질경이를 보면 심란해진다. 머리부터 아프다.

질경이를 보면 생각나는 얘기가 있다. 질경이를 두고 한계를 기회로 바꿔 삶을 이어 가는 지혜의 풀이라고 한다. 바닥에 납작 엎드려 살아남고, 밟히는 순간조차 번식의 기회로 만든다. 씨앗은 주로 이들의 발바닥에 붙어 멀리까지 퍼진다. 질경이가 살아가는 방법이다. 비옥한 땅보다는 척박한 땅을 골라 뿌리를 내린다. 기름진 땅에서 인간들에게 사랑받는 화려한 꽃들과 경쟁해 봐야 결과가 뻔하기 때문이다. 차라리 버려진 땅에 싹을 틔워 밟히고 치이면서 자라난다. 비록 고난은 당하지만, 엄연히 자기만의 ‘나와바리’와 자유가 있다. 한계를 기회로 바꿔 삶을 이어 가는 지혜로운 풀이라는 말이 그냥 나온 게 아니다.

사람 이치도 마찬가지다. 좋은 기회는 낮추는 사람에게만 보이고, 처한 환경이 절박할 때 오히려 나타난다. 많은 사람은 좋은 기회란 높은 위치에 있거나 경제 호황기 때 생긴다고 하지만, 대개의 경우 바닥에 있거나 경제 쇠퇴기에 발생한다. 선거가 끝났다. 여야를 막론하고 패배자들, 특히 한동훈의 울분, 상실감은 짐작조차 어려울 것 같다. 그러나 이 같은 절박함에서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각오가 생긴다. 현실을 회피할 수 있지만, 현실 회피의 결과에서는 회피할 수 없다. 개가 아무리 짖어도 기차는 간다. 질경이처럼 다시 일어나면 된다. 앵두나무 새순 사이로 봄 햇살이 뭉텅뭉텅 쏟아지고 있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이미지 확대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김동률 서강대 교수(매체경영)
2024-04-29 2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