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은정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
그간 우리나라 제조업이 세계로 뻗어 나간 것에 비해 금융산업의 해외 진출이 상대적으로 더뎠던 것은 사실이다. 오랜 기간 자본의 축적을 거치면서 성장한 유럽과 미국 중심의 세계 금융시장에서 우리나라 금융이 명함을 내밀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건 능히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숫자로 살펴본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세계화 성적표는 꽤 준수하다. 우리나라 은행들은 2021년 해외에서 1조 3300억원을 벌어들이는 등 2015년 6400억원 수준이었던 것에 비해 6년 만에 2배 이상 성장했다. 일부 은행은 전체 이익의 20% 이상을 이미 해외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금융산업 육성을 통해 눈부신 성장을 이룬 국가 사례들을 보면 금융의 글로벌화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최고의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나아가야 할 길이다.
최근 기술 발전과 새로운 플레이어들의 등장으로 금융과 비금융 간 융복합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가 보편화됐으며 하나의 플랫폼에서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그 과정에서 비금융과 금융 데이터를 함께 활용해 금융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금융의 새로운 방향성이자 금융회사의 핵심 경쟁력이 돼 가고 있다. 해외 사례를 보더라도 태국의 최대 은행인 시암상업은행(SCB)은 자회사를 통해 음식배달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거래 명세를 활용한 대출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의 융복합 추세는 해외 진출을 생각하는 국내 금융회사의 필수 고려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금산분리 규제 완화를 통한 새로운 규제 체계를 검토하고 나선 이유다.
더 늦기 전에 우리나라도 금융회사의 해외 비금융 자회사 인수를 허용해야 한다. 국내 은행이나 금융지주가 동남아 등의 국가에서 플랫폼 회사를 인수한다면 효율적 협업이 촉진되고, 다양한 고객 확보 전략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해외에 대한 규제 완화는 규모 및 국내 영향력 등을 고려할 때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 은행의 여전히 낮은 초국적화 지수(기업의 총자산·수익·인원 중 해외 비중)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 금융의 본격적인 해외 진출 및 성과 달성을 위해 가야 할 길은 여전히 멀다. 국내 금융회사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물론 자체적인 노력과 역량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국내 관련 법제로 인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치열한 세계시장에서 타이밍을 놓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빠른 입법 지원을 통한 글로벌 금융 진출 전략의 획기적인 전환을 기대해 본다.
2023-04-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