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투명하고 공정한 출판전산망을 위해/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문화마당] 투명하고 공정한 출판전산망을 위해/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입력 2021-06-30 17:22
수정 2021-07-01 0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책의 유통 구조는 후진적이다. 일부 동네서점은 아직도 손으로 주문장을 써서 팩스로 업무를 처리한다. 전산 주문도 개별 출판사 입출고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아 주문만 처리해도 오전이 간다는 하소연도 흔하다.

위탁거래 탓에 발생하는 반품도 문제다. 위탁거래란 새 책이 나오면 출판사가 우선 책을 서점에 보내고, 서점은 팔린 책만큼 대금을 주고 나머지는 반품하는 거래 방식이다. 마케팅 능력이 모자라는 출판사도 일단 독자에게 책을 보일 수 있고, 서점 역시 책을 모두 구매하지 않아도 일단 서가를 꾸릴 수 있다. 단점도 있다. 서점의 책은 누구나 볼 수 있기에 전시 과정에서 훼손이 심한 데다 미판매 서적이 때로는 몇 해 후에 돌아오기도 한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단행본 서적의 평균 반품률은 18.1%에 달한다.

반품이 있으므로 출판사 출고가 모두 판매는 아니다. 출판사 전산망과 서점 전산망이 통합되지 않아서 출판사에선 출고 서적이 어디에 있는지, 얼마큼 팔렸는지 알 수 없다. ‘판매’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판매량도 다를 수밖에 없다. 높은 반품률을 양해하면 괜찮으나 저자 마음에 의심이 들면 다툼이 커진다. 전체 판매량을 아무도 모르니 정보를 쥔 서점과 출판사에서 이를 자기한테 유리하게만 해석할 수 있다. 불투명성은 쉽게 부패를 낳는다. 장강명, 임홍택 두 작가와 출판사 간 ‘인세 누락’ 문제를 둘러싼 최근의 논란이 이를 잘 보여 준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18년부터 예산 60억원을 들여 구축한 출판유통통합전산망은 도서 유통의 불투명성을 해결한다. 이 전산망은 지난 20년간 출판계의 숙원 사업이었다. 시범 사업에 참여했던 출판사에 따르면 현 단계에선 도서 데이터 등록 및 관리, 참여 서점별 판매량 일괄 조회 등이 가능하다. 참여 출판사와 서점이 늘면 장차 필요한 시장 흐름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가 산업의 연료가 되는 세상에 드디어 출판계도 합류하는 것이다.

출판사와 합의하고 시스템만 구축되면 저자 역시 인증 코드를 할당받아 책 판매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면 장강명 작가의 공언대로 전산망에 참여하지 않은 출판사는 좋은 저자와의 계약이 힘들 것이다. 저자 대부분은 판매 정보 공개를 꺼리는 출판사를 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도 자체 시스템을 구축해 대응에 나섰다. 미참여 서점 역시 신뢰 못할 곳이니 출고율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통합전산망 도입을 둘러싼 문체부 태도에는 문제가 있다. 독일, 프랑스, 일본, 캐나다 등 해외 국가 중 전산망 운영을 정부가 직접 하는 나라는 없다. 북넷캐나다처럼 정부는 필요 자금을 지원하고, 운영은 전적으로 민간에 맡긴다. 정부가 데이터까지 관리해야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은 관치적 사고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출판은 표현의 자유 영역에 속한다. 사재기 등 범죄적 행위와 연관되지도 않았는데, 개별 책의 판매 정보를 정부가 엄격한 절차 없이 임의로 들여다보는 것은 이를 침해할 수 있다. 어떤 정보를 언제, 어떻게, 누구와 공유할 것인지는 반드시 민간에 맡겨야 한다.

문체부가 세종도서 등 별도 사업을 연계해서 유통망 참여를 강제하는 것은 충격적이다. 세종도서는 책의 내용으로 선정해야지 정부 정책 협조 여부가 심사 기준일 수 없다. 유통망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자격 자체를 박탈하면 이는 결국 ‘블랙리스트’와 같은 효과를 낸다. 사업 참여를 유도하려면 참여 출판사에 유통비 지원 등 이득을 주어서 독려해야지 미참여 출판사를 징벌하면 안 된다. 좋은 뜻을 나쁜 절차로 더럽히는 건 어리석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깜깜이 유통’에서 벗어나고, 민관 협력도 잘되길 바란다.
2021-07-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