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한의 종횡무애] 너무 먼 곳의 정의

[조이한의 종횡무애] 너무 먼 곳의 정의

입력 2020-06-16 20:32
업데이트 2020-06-17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아버지는 (한국의) 전형적인 가부장이었는데 어느 날 TV 드라마에서 아버지와 똑같다고 생각되는 캐릭터가 나오자 혀를 끌끌 차며 “세상에 저런 인간이 어디 있냐”고 말했다. 옆에 있던 나는 정말로 놀랐다.

그 기억은 지금까지 내내 교훈으로 남아 있다. 사람은 자기 자신을 모른다는 것. 콕 집어서 당신이 저렇다고 말하기 전에는 절대로 자기 모습이라는 걸 모른다는 것이다. 아니, 어쩌면 말해 줘도 모르는 게 인간이라는 걸 마음에 새겼다. 그 후로 나는 상대에게서 언짢은 모습이 보이면 늘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는 습관이 생겼다. 저게 내 모습일지도 모른다. 나는 과연 누구인가?

한 장의 사진이 눈길을 끌었다.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국회에서 한쪽 무릎을 꿇고 고개를 숙이고 있는 장면이었다. 손에는 ‘#모든 차별에 반대한다’는 피켓을 들었다. 분명 우리에게 익숙한 몸짓은 아니다. 우리는 사죄할 때 두 무릎을 땅에 대고 꿇지 저렇게 한쪽 무릎을 세우지 않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지난 5월 25일 미국에서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벌어진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을 계기로 미국 민주당이 했던 퍼포먼스를 따라 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통합당이 성소수자나 동성애자, 매일 죽어 나가는 이 땅의 노동자들의 인권에는 어떤 관심이 있었지? ‘모든’이라는 관형사는 ‘빠짐이나 남김이 없이 전부의’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어떤 차별에 반대한다’고 적었어야 했다. 아니면 퍼포먼스를 한 9명이 통합당의 예외에 속하거나. 그도 아니면 그들도 역시나 자기 자신을 모르거나.

우리는 우연히 그 자리에 있었던 10대 흑인 소녀가 찍은 영상에 분노해 미국의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사이트에 들어가 서명을 하기도 한다. 영상이 가진 힘이기도 하지만 ‘먼 곳에 있는 불의’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이기도 하다. 우리는 나와 상관없는 일에는 화를 내도 내가 직접 연관돼 있는 사건에는 침묵한다.

추상적인 정의에는 목소리를 높여도 자신과 가까운 부당함에는 침묵한다. 남의 나라 흑인이 받는 차별에는 반대해도 그 사건을 계기로 미국 대학 입학에서 소수민족 우대 정책을 추진하는 것에는 반대한다. 아시아인들이 불리하기 때문이다. ‘나’의 정체성은 기득권자와 소수자, 가해자와 피해자, 갑과 을의 경계를 넘나들므로 우리는 늘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남의 눈의 티끌은 들추지만 내 눈의 들보는 못 보는 것. 그래서 늘 거울을 들여다보고 스스로를 살펴야 한다는 것. 어려서부터 늘 들어 왔던 말이 아니던가.

아버지는 언젠가 TV에서 자식을 지극히 사랑하는 아버지가 나오자 “저렇게 자기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아버지도 있냐”고 하신 적도 있다. 그때는 정말로 웃어 버렸다. 당신이 생각하는 추상적인 ‘사랑’이 실은 행동이라는 구체적인 형태로 나와야 한다는 걸 모르셨을 뿐이다.

통합당 의원들, 알겠는가? 시선을 가까이 두고 ‘모든 차별에 반대’하는 행동을 하라!
2020-06-17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