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파종을 보며 경건해지는 이유/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파종을 보며 경건해지는 이유/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3-03-06 02:25
업데이트 2023-03-06 0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아직은 좀 이른 감이 있지만 혹한이 이어졌던 겨울이 끝나는 신호가 보이기 시작했다. 공기는 싸늘하지만 확실히 봄기운이 다가오는 느낌이다. 성미 급한 풀들은 벌써 고개를 삐죽 내밀었고, 새들도 부산하게 움직인다. 한편에서는 얼었던 땅을 일구며 한 해 농사를 시작할 준비를 하는가 하면 비닐하우스에서는 벌써 봄작물이 나온다. 한 해의 시작이다.

전통시대 아시아 농경사회에서는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다양한 행사를 했다. 씨앗을 뿌리는 파종제도 그중 하나다. 삼한에서는 음력 5월에 씨를 뿌리고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축제를 했다. 제주도에서 아직까지 음력 5월에 좁쌀이나 기장 씨를 뿌리고 풍요를 기원하는 제석제를 여는 것도 파종제의 전통에서 왔다고 한다. 파종제의 풍습은 시기만 다를 뿐 아시아 각지에 있었다. 인도 역시 마찬가지다.

싯다르타가 태어난 카필라 왕국은 인도 북부, 네팔 가까이 있던 나라였는데 매년 봄이면 여기서도 파종제가 열렸다. 농경 국가 대부분이 그랬듯이 왕이 직접 씨앗을 뿌리며 백성들에게 농사의 모범을 보이는 축제였다. 아버지 숫도다나 왕을 따라 파종제에 참석한 싯다르타는 우연히 농부가 밭을 가는 모습을 목격했다. 겨우내 묵혀 두었던 땅을 깊이 갈자 벌레가 땅 위로 밀려 나오고, 뜨거운 햇볕에 노출된 벌레가 괴로워 몸을 비틀기도 전에 잽싸게 새가 날아와 쪼아 먹는 걸 보게 된다.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약육강식의 현장을 목도한 싯다르타는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자신이 살기 위해 농부가 밭을 갈았지만 그게 벌레의 죽음을 가져왔고, 새 역시 살기 위해 벌레를 잡아먹은 것이니 굳이 누구의 잘못이라 하기 어려운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싯다르타는 불현듯 가슴 가득 차오르는 슬픔을 느끼게 된다. 뙤약볕 아래 일하는 농부나 쟁기를 짊어진 소나 밖으로 끌려나온 벌레나 허기진 새까지 어느 하나 연민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존재가 없었다. 그는 잠부나무 밑에 홀로 앉아 처음으로 깊은 선정에 들었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나고 죽는 일이란 무엇인가, 누군가의 삶을 위한 행위가 어떻게 누군가에겐 죽음이 되는가?’ 잠부나무 밑에서의 고민과 명상은 이후 싯다르타의 출가와 깨달음으로 이끄는 첫 사건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미지 확대
수하선정, 3세기, 간다라, 페샤와르 박물관.
수하선정, 3세기, 간다라, 페샤와르 박물관.
3세기경 간다라에서 만든 이 조각 윗부분에 싯다르타 왕자 머리 위로 늘어진 것이 잠부나무다. 왕자가 앉은 대좌 왼편에는 밭을 가는 소와 농부가 새겨져 있다. 벌레나 새는 없어도 소가 쟁기를 끄는 모습에서 첫 선정의 장면임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왕자답게 화려하게 장식한 높은 터번과 두툼한 목걸이, 귀걸이로 꾸몄다. 고요히 눈을 내리깔고 선정에 든 모습은 마치 시간이 정지돼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성인이 되는 길은 멀고 힘들지만 새봄을 맞는 경건한 마음으로 명상 정도는 할 수 있지 않을까.
2023-03-06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