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숲은 가만히 두는 게 최선일까

[자치광장] 숲은 가만히 두는 게 최선일까

입력 2024-06-05 00:20
업데이트 2024-06-05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숲을 포함한 자연은 있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하지만 숲도 관리가 필요하다. 나무도 나이가 들면 탄소 흡수능력이 떨어지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한 자연의 섭리다.

현재 우리나라의 울창한 산림은 6·25로 황폐해진 산을 복원하기 위해 1970년대 실시한 대대적인 녹화사업의 결과다. 하지만 당시 심은 나무들은 탄소 흡수능력이 많이 떨어져 산림청은 2050 탄소중립 핵심과제로 불균형한 산림의 ‘영급 구조 개선’을 발표했다. 4영급(31~40살) 이상이 우리나라 전체 산림 면적의 72%를 차지하고 있으니 노령화된 나무 대신 어린 나무를 심어 숲의 탄소 흡수능력을 증대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최근 발표된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 성장 기본계획’엔 산림 순환경영을 통한 탄소 흡수능력 강화안이 포함됐다.

은평은 감사하게도 편백숲이 조성된 봉산을 포함해 6개의 산을 가졌다. 봉산 편백숲은 2014년 서울시 시범사업으로 채택된 뒤 각고의 노력으로 96%의 활착률을 보이며 서울에선 유일하게 성공한 사례다. 무장애 숲길도 조성했다. 이제 치유의 숲을 서울에서도 만날 기회가 생긴 것이다.

오래된 나무를 베고 편백숲을 조성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하지만 편백숲 확대 구역은 기존 4영급 이상의 아까시나무림 구간이다. 나이가 많고 잎이 거의 없어 탄소를 흡수하지 못하는 나무들이다. 뿌리도 약해져 태풍에 쓰러질 확률이 높다. 위험한 데다 쓰러진 나무를 제거하는 작업은 전문인력과 장비가 투입돼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나무가 죽어 쓰러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어린나무를 심는다면 숲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없다. 어린나무부터 청년 나무, 중장년 나무가 골고루 있어야 건강한 숲이 유지되고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다.

편백나무를 선택한 데 대한 찬반 논란도 있다. 편백나무는 탄소 흡수력이 뛰어난 것은 물론 피톤치드를 많이 발산하며 아토피 예방에 좋아 치유의 나무로 알려져 있다. 매년 산불이 큰 문제인데, 편백나무는 방화수 역할도 한다. 치유의 숲으로 알려지면 나중엔 은평구와 서울시를 대표하는 관광 자원이 될 수도 있다.

나무를 베는 일이 가혹하게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주민에게 이득이 되고 은평의 가치를 높이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구청장의 역할이다. 어떻게 하면 인간 사회에 이로운 지속 가능한 산림을 만들어 갈 수 있을까에 주안점을 둬야 한다.

깨끗한 공기에 대한 갈망은 점차 커지고 있다. 숲은 지구의 허파이며 코로나19 시대의 마스크다. 기능을 잃어버리기 전에 올바른 산림경영과 관리로 지속 가능한 숲을 후세대에 물려주는 것. 현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하여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동시에 산림생태계의 장기적인 건강성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것. 이것이 숲을 대하는 우리의 의무이며, 올바른 자세다.

김미경 서울 은평구청장

이미지 확대
김미경 서울 은평구청장
김미경 서울 은평구청장
2024-06-05 2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