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자기파괴의 배상/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자기파괴의 배상/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입력 2023-03-30 02:07
수정 2023-03-30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브렌든 프레이저가 영화 ‘더 웨일’에서 272㎏의 고도비만으로 몇 년간 은둔생활을 하는 찰리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울혈성 심부전으로 죽음을 앞둔 찰리가 떠난 딸에게 연락을 하며 벌어지는 닷새가 연극처럼 펼쳐진다.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자기파괴적 행위가 지은 죄를 배상할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됐다.

찰리는 처음부터 고도비만은 아니었다. 딸을 낳고 대학강사를 하는 평범한 생활을 하다가 수업을 듣던 남성과 사랑에 빠져 집을 떠나게 됐다. 그 남성은 뉴라이프 교회에 깊이 연관돼 있었고, 동성애로 교회에서 배척을 당해 죽고 만다. 어린 딸과 가족을 두고 떠난 것, 파트너를 보호하지 못한 죄의식이 그를 폭식으로 이끌었다.

음식을 먹는 것은 만족을 준다. 특히 당분, 기름진 것, 탄수화물과 같이 동물적 측면에서 영양가가 강한 것은 도파민이 분비되며 강한 보상을 원하는 중독 사이클에 들어가게 하기 쉽다. 마치 마약이나 술에 중독되듯이. 처음에는 슬픔에 대한 자가 치유로 시작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시간이 가며 어느새 체중이 증가하고 나갈 수 없는 몸이 돼 버리면서 생각이 바뀌지 않았나 싶다. 지금 내가 하는 행동은 나를 감옥에 가둬 두는 것이고, 나를 서서히 죽여 가는 음식에 대한 탐닉은 내가 지은 죄를 묻는 것이라고. 그런데 죽음을 앞둔 지금까지의 고생은 잘못에 대한 충분한 배상이 됐을까.

진료를 하다 보면 비슷한 맥락의 행동을 자주 만난다. 반복적 자해, 폭식과 구토와 같은 뚜렷한 행동부터 이해하기 힘든 승진이나 성취의 실패가 이어지는 것과 같은 숨겨진 선택들도 있다. 공통적인 것은 결국 불행한 상태에 머물고, 사람들로부터 멀어지고, 비극의 주인공이 된다는 것이다. 가해자가 더 당당하게 살아가는 ‘더 글로리’ 같은 현실에서는 그나마 찰리와 같은 사람이 양심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하나 자기가 구형하고 판결해서 실행하고 있을 뿐 이해 당사자들조차도 그게 나름의 죄갚음이라는 걸 모른다는 것이 핵심적 오류다.

살면서 하는 선택은 모두 심사숙고의 결과물이라 사정을 들어 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그러나 동감하고 이해는 하지만 동의하기는 어려울 때가 많다. 더 나은 방법들이 분명히 있지 않았냐고 물어보면 돌아가기에는 너무 지나와 버렸다고 대답한다. 여기서 더 큰 문제는 상대는 왜 저렇게 하는지 알지 못하니 그렇게 괴롭게 지낸다고 용서를 얻게 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당사자는 열심히 배상을 하고 있고 언젠가는 죄로부터 구원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갖고 지내나 대부분 그 수렁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이런 자기파괴적 행동은 강렬한 죄의식이 만든 허상의 회초리일 뿐이기 때문이다.

찰리가 그랬듯 나를 파괴해서 세상에 드러나게 할 수 없는 존재로 만드는 행동은 결국 더 깊은 죄책감과 수치심에 빠져들게 만들고 말뿐이다. 이렇듯 자기파괴적 셀프 배상은 어느 쪽에게도 좋지 않다. 그런데도 우리는 죄갚음과 용서, 그리고 화해는 혼자 결정하고 치를 일이 아니라는 것을 맞닥뜨림의 두려움 때문에 너무 쉽게 잊는 것 같다.
2023-03-3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