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황혼 부부/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황혼 부부/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11-17 00:00
수정 2014-11-17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벽 어르신 방송을 보는 재미에 빠져 있다. 향토색 짙은 남도 말투로 엮어 내는 인생 이야기가 여간 흥미롭지 않다. 모진 세월을 다 이겨 내고 욕심마저 내다 버린 속내엔 아쉬움도 크지만 정겨움이 버무려져 물씬 묻어난다. 주로 남편이 젊었을 때 주색놀이와 노름으로 가정을 팽개친 이야기들이다. 할아버지의 영웅담과 할머니의 속정 버린 얘기를 여과 없이 풀어낸다. 인생살이의 요약본이다.

중년 부부의 이혼 상담글을 읽었다. 남편이 수년간 딴살림을 하다가 다시 집에 들어온 사례다. 아내의 ‘황혼 이혼’ 요구는 일종의 복수다. 바람둥이가 대체로 그렇듯이 남편은 지금도 제 잘난 듯 뻔뻔스럽게 군단다. 자식들의 의견이 엇갈렸다. 딸들은 “이젠 아버지가 어머니를 놔 줘야 한다”고 하고, 아들은 “여생을 혼자 사는 건 고통”이라며 반대했다. 다시, 방송에서의 할머니가 운을 뗐다. “세상 제 것같이 살던 저 성질에 애간장 얼매나 태웠을까이…. 겉으론 저래 쏘아대도 속정은 깊어.” 저만치서 할아버지가 한마디를 한다. “저 양반, 젊어서 인물 하난 안 빠졌제.” 늘 엇박자로 걸었어도 손은 놓지 않는 게 부부인가.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1-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