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온라인 조문/이지운 논설위원

[길섶에서] 온라인 조문/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기자
입력 2020-05-12 17:30
업데이트 2020-05-13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제는 대략 감이 온다. 유난히 컴퓨터 모니터 한구석이 쉼 없이 깜빡일 때, 휴대전화 화면이 반짝거리기를 지속적으로 반복할 때, 단체대화방에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가 한가득이다. 술자리에서 주제가 됐다. 이어지는 ‘온라인 조문(弔問)’에 관한 심리 분석. 우선, “일부는 ‘현장 조문이 어려우니 혜량해 달라’는 뜻을 완곡히 표시한 것”이라는 긍정적 해석. 이에 제기되는 합리적 의문, “그럼 부조는 보냈을까?” 설왕설래 끝 결론-“현장 조문도 하지 않고, 부조도 보내지 않아 결국 온라인 조문만 한 누군가는 분명히 존재할 것.” ‘온라인으로만 조문’의 비율도 논의됐으나, 상주(喪主)에게 확인해 보지 않은 다음에야 알 수 없는 일. 꼼꼼한 상주가 있어 일일이 대조해 봤다면 무슨 생각을 하게 될까.

상가나 결혼식 현장을 놓치고, 부조도 당일 전달하지 못할 때가 종종 있다. 뒤늦게 봉투를 전달하곤 하는데, 그런 일이 잦아진다. 가끔은 이 ‘지각 부조’마저 한참을 놓친 게 문득 떠올라 난감하기도 하다. ‘부고’가 뜰 때마다 “혹시 모르니, 온라인 조문은 금지”를 다짐한다.

얼마 전 부고 아래로 “온라인 조문을 생략했으면 좋겠다”는 글이 올라왔다. 아무도 먼저 꺼내지 못한 용기있는 말, 비슷한 생각들을 한 걸까.

2020-05-13 3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