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나목과 두 여인’/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나목과 두 여인’/오일만 논설위원

입력 2020-05-28 22:26
업데이트 2020-05-29 02: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며칠 전 강원도 동해안에서 돌아오는 길에 양구에 들렀다. 몇 년 전인가, ‘박수근미술관’이 휴관일이라 발길을 돌린 아쉬움이 컸다. 어렵사리 찾은 미술관 입구, 늦봄의 향긋한 꽃향기가 진동한다. 정원과 건물 모두 ‘자연 그대로’를 최대한 살린 풍격이 인상적이다. 양구가 고향인 박수근(1914~1965) 화백은 6·25전쟁 전후 ‘나무와 두 여인’, ‘빨래터’, ‘시장의 여인들’ 등 한국인의 일상적인 삶을 순박하고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 냈다는 평을 받는다.

눈길을 끈 것은 박수근 화백 55주기 추모 특별전 ‘나무와 두 여인: 박수근·박완서·황종례’였다. 이들은 1952년 전쟁 후 폐허가 된 서울의 미군 부대 PX 초상화 가게에서 동고동락한 인연이 있다. 박완서는 작가, 황종례는 도예가가 됐다. 당시 박완서 작가는 어설픈 영어로 지나가는 미군에게 주문을 받았고 두 사람은 초상화를 그려 생계를 꾸렸다고 한다. 박완서 작가는 소설 ‘나목’에서 싸구려 초상화를 팔아 연명하면서도 의연함을 잃지 않았던 박 화백을 투영시켰다.

“늠름한 나목에겐 아직 멀지만 봄에의 믿음이 있다”고 했던 소설 속 인물(옥희도)이 바로 박수근 화백이다. ‘언 몸을 녹여 주는 따뜻한 물 같다’던 인간미가 그의 그림에서 보인다.

oilman@seoul.co.kr

2020-05-2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