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물난리의 추억/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물난리의 추억/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8-05 17:36
업데이트 2020-08-06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0년 늦여름이었다. 비가 제법 내리던 아침 시내버스를 타고 대방동 즈음을 지나는데 갑자기 버스가 멈추며 내려야 했다. 차 바퀴가 3분의2 이상 물에 잠겨 있었다. 광주에서 갓 올라온 더벅머리 재수생에겐 낯선 상황이었다. 노량진 D학원까지 가야 하니 10분쯤 걸으면 되지 싶어 바짓가랑이를 걷어붙였는데, 갈수록 물이 불었다. 가슴께까지 차는 물에서 헤엄치다시피 하며 기어이 도착했다. 학원도 1층은 종아리까지 물이 차올랐고 정전까지 됐으니 그날은 모두 휴업이었다. 도착한 반 친구들은 10명도 되지 않았다. 물을 헤치고 학원 오는 길을 무용담처럼 늘어놓다가 도시락을 까먹고 집으로 돌아갔던 기억이 생생하다.

기자가 된 1999년 여름, 1990년 못지않은 물난리가 났다. 동두천, 의정부 등 피해 지역에 취재를 갔다. 일주일 가까이 현장에 있다 보니 비는 그쳤고 물도 빠져나갔다. 절반쯤 부서진 집에, 복구조차 힘든 세간을 바라보는 수재민의 허망한 시선이 절로 내 것처럼 느껴졌다. 취재는 뒷전인 채 몇몇 집에서 같이 흙먼지 닦으며 울음을 달래 주던 기억도 생생하다.

2020년 다시 중부지방 물난리가 심상찮다. 기후위기를 내 일처럼 여기지 않으면 내일의 재앙은 더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어떻게 해야 하나.

youngtan@seoul.co.kr

2020-08-06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