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설픈 지식으로 뭇 사람들에게 상처를 안겼다는 생각을 하니 부끄럽다.” 늘 존경하며 따랐던 선배가 퇴직 후 털어놓은 말이다. “퇴직 후에도 좋은 글을 계속 남겼으면 한다”는 제안에 돌아온 의외의 답변에 당황한 기억이 생생하다. 유머 감각과 풍부한 상식으로 유쾌하고 날카로운 글을 자주 썼던 선배의 이런 고백은 작지 않은 충격이었다.
조선 500년사 3명의 명재상 중 한 사람인 맹사성은 겸양지덕의 대명사로 꼽힌다. 그는 자신보다 벼슬이 낮은 사람이 찾아와도 공복의 예를 갖추고 반드시 대문 밖까지 나가 맞았다고 한다. 손님이 오면 맨 윗자리에 앉혔으며 돌아갈 때에는 공손하게 문 밖까지 배웅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겸손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았던 것이다.
‘겸손’의 사전적 의미는 ‘남을 존중하고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태도’이다.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겸손보다 셀프홍보가 미덕이 됐다. 어떤 이는 잘난 체하는 것이 너무 익숙해 허풍에 가까운 언행을 일삼기도 한다. 주변인들의 시선이나 평가는 전혀 개의치 않는 이도 많다. 몇몇 정치인을 보면 더욱 그렇다. 벼슬과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사람이 많은 시대에 선배의 절필 이유가 겸손한 삶을 일깨워 준다.
yidonggu@seoul.co.kr
조선 500년사 3명의 명재상 중 한 사람인 맹사성은 겸양지덕의 대명사로 꼽힌다. 그는 자신보다 벼슬이 낮은 사람이 찾아와도 공복의 예를 갖추고 반드시 대문 밖까지 나가 맞았다고 한다. 손님이 오면 맨 윗자리에 앉혔으며 돌아갈 때에는 공손하게 문 밖까지 배웅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겸손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았던 것이다.
‘겸손’의 사전적 의미는 ‘남을 존중하고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태도’이다.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는 겸손보다 셀프홍보가 미덕이 됐다. 어떤 이는 잘난 체하는 것이 너무 익숙해 허풍에 가까운 언행을 일삼기도 한다. 주변인들의 시선이나 평가는 전혀 개의치 않는 이도 많다. 몇몇 정치인을 보면 더욱 그렇다. 벼슬과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사람이 많은 시대에 선배의 절필 이유가 겸손한 삶을 일깨워 준다.
yidonggu@seoul.co.kr
2020-12-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