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과묵과 수다/김상연 논설위원

[길섶에서] 과묵과 수다/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6-29 17:02
업데이트 2021-06-30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생을 꽤 오래 산 어른한테서 이런 얘기를 들었다. “예전에는 말수가 적은 사람이 뭔가 있어 보였어요. 그런데 사람을 많이 겪어 보니 그런 사람들이 오히려 맹탕이라는 것을 깨달았지요. 반대로 말수가 많은 사람은 가벼워 보이지만, 실상은 조금이라도 뭔가를 알고 있기에 그만큼 말하고 싶어 하는 거 아닐까요. 그래서 지금은 과묵한 사람에 대한 환상이 없어요.”

평소 말수가 많은 성격을 고치지 못해 고민인 사람들에게는 복음과도 같은 찬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러고 보니 과묵한 사람이 모처럼 입을 열었을 때 생각했던 것보다 별로 내용이 없어 의외라고 생각했던 적이 종종 있다. 물론 과묵한 사람이 모두 맹탕이라고 일반화하는 것은 위험할 것이다. 천성이 말수가 적거나 듣는 사람들의 수준이 너무 낮아 말을 섞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분명한 건 경제학적으로 따지면 말수가 많은 사람은 말수가 적은 사람에 비해 손해라는 것이다. 개똥철학이든, 심오한 지식이든 말을 많이 하는 사람은 듣는 사람에게 뭔가 정보를 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말수가 많은 사람에게 “빈 수레가 요란하다”는 식의 핀잔은 주지 말았으면 한다. 그 수다 중에 혹시 피가 되고 살이 될 지식이 숨어 있을지 누가 알겠나.

김상연 논설위원 carlos@seoul.co.kr
2021-06-30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