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소통법

[길섶에서] 소통법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4-05-23 03:18
수정 2024-05-23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근 모임에서 만난 60대 초반의 법률사무소 대표가 직원들의 전화 부탁에 대해 말했다. 전에는 ‘전화해 주세요’가 일을 진행하면서 어려움이 발생해 물꼬를 터야 할 때였는데 지금은 계약할 때부터란다. 전화 대신하는 사람이 된 거 같단다. 이 말에 40대 참석자가 맞장구를 쳤다. 직원들이 상대방에게 카카오톡이나 이메일을 보내 놓고는 마냥 기다린다고. 급한 일이면 바로 전화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는다고 했다.

나는 당장 급하지 않은 일은 카톡이나 문자를 보내 놓고 기다린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반나절이 기다리는 한계점이다. 기다리다가 답답해져 전화하려 할 때쯤 상대방이 응답하는 경우가 많다.

카톡 응답 시간은 얼마 정도면 될까. ‘친구 이상 연인 미만’이라는 썸 관계에서는 이 시간이 중요하다는데. ‘1’ 표시가 사라져 읽었다는 것이 확인되는 것도 어찌 보면 답장이다. 읽어 놓고 아무 대꾸도 하지 않는 ‘읽씹’을 할 수 있는 관계나 상황은 어떤 걸까. 소통이 자꾸 복잡해진다.
2024-05-23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