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딜 가나 가상화폐 이야기다. 직장이나 친구 모임은 물론 이젠 학교 교실에서까지 가상화폐 투자 무용담이 춤을 춘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인의 친구가 떼돈을 벌었다는 식의 간접 투자담이었다. 하나 이젠 “친구나 지인이 얼마를 투자해 한 달 만에 몇 배의 수익을 올렸다”는 직접 경험담이 많아졌다. 가상화폐만 생각하면 괜히 손해 보는 것 같다거나 갑자기 우울해진다는 사람도 많다. 가히 가상화폐 광풍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다.
비트코인을 선두 주자로 한 가상화폐가 돈을 빨아들이고 있다. 엊그제 가상화폐 시가총액 가치가 8000억 달러(약 852조원)를 돌파했다고 한다. 대체 가상화폐가 어떤 마력을 지녔기에 블랙홀처럼 돈을 빨아들이는 걸까. 가상화폐는 표현대로만 보면 진짜 화폐가 아니다. 블록체인 코드로 컴퓨터 속에 존재할 뿐 아무런 실제 가치가 없으니 그럴 수도 있다. 한데 그런 논리라면 원화나 달러, 유로화도 종이에 불과하니 마찬가지다. 다만 국가의 담보 아래 노동의 산물인 물건이나 서비스로 바꿀 수 있을 뿐이다. 가상화폐도 기업이나 개인들의 약속에 의해 교환 기능을 부여받으면 기존 화폐와 다를 게 없어진다. 이미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리플 등 대표 가상화폐들은 부분적으로 이런 용도로 쓰이고 있다.
가상화폐는 화폐 사용과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들 사이의 계약이다. 뚫리지 않는다는 블록체인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계약이다. 국가를 넘어선 개인들이 발행하니 태생적으로 국제 화폐다.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이 더 발달하고, 가상화폐를 매개로 한 상품과 서비스 교환이 보편화된다면 개별 국가가 발행하는 화폐의 지위를 넘볼 수도 있다. 종이 화폐에 비해 발행 비용이 제로에 가깝고, 거래 비용이 훨씬 낮으며, 국경을 넘나드는 속도와 편의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자유시장 경제에 딱 들어맞는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이런 강점은 화폐로서의 안정성이 담보될 때에 한해 작동한다. 국가의 신용 담보가 없는 만큼 불안정성이 너무 강해 거기 기생하는 투기 광풍이 상존할 수밖에 없다.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이 자국 화폐를 위협하는 가상화폐에 신용을 담보해 줄 리도 없다. 며칠 전 한 대학생이 등록금을 가상화폐에 투자해 수십 배의 수익을 올리자 그 부모가 다시 목돈을 끌어다 맡겼다는 소식을 들었다. 10대, 20대 청년들이 너도나도 용돈을 가상화폐에 넣고 밤을 지새운다고 한다. 젊은이들에게 노력의 가치, 노동의 의미를 설명해 주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다.
sdragon@seoul.co.kr
가상화폐는 화폐 사용과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들 사이의 계약이다. 뚫리지 않는다는 블록체인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계약이다. 국가를 넘어선 개인들이 발행하니 태생적으로 국제 화폐다.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이 더 발달하고, 가상화폐를 매개로 한 상품과 서비스 교환이 보편화된다면 개별 국가가 발행하는 화폐의 지위를 넘볼 수도 있다. 종이 화폐에 비해 발행 비용이 제로에 가깝고, 거래 비용이 훨씬 낮으며, 국경을 넘나드는 속도와 편의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자유시장 경제에 딱 들어맞는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이런 강점은 화폐로서의 안정성이 담보될 때에 한해 작동한다. 국가의 신용 담보가 없는 만큼 불안정성이 너무 강해 거기 기생하는 투기 광풍이 상존할 수밖에 없다.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이 자국 화폐를 위협하는 가상화폐에 신용을 담보해 줄 리도 없다. 며칠 전 한 대학생이 등록금을 가상화폐에 투자해 수십 배의 수익을 올리자 그 부모가 다시 목돈을 끌어다 맡겼다는 소식을 들었다. 10대, 20대 청년들이 너도나도 용돈을 가상화폐에 넣고 밤을 지새운다고 한다. 젊은이들에게 노력의 가치, 노동의 의미를 설명해 주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다.
sdragon@seoul.co.kr
2018-01-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