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항일운동의 주역 신흥무관학교의 교가가 애틀랜타를 함락한 북군의 ‘조지아 행진곡’이었다는 사실도 기억할 만하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싸우러 나가세’라는 가사를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 노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의 군가가 됐고, 대한민국 국군의 공식 군가로도 채택했다.
애틀랜타는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배경이기도 하다. 애틀랜타 출신 작가 마거릿 미첼이 1936년 쓴 소설은 1939년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남북전쟁 때 조지아의 분위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영화는 원작 소설을 재현하는 데 충실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철저한 미국 남부 중심적 시각에서 씌어져 흑백 차별을 정당화한다는 비판도 받았다. 백인은 부유한 농장주로 우아한 삶을 즐기고 있는 반면 흑인은 하나같이 백인이 규정한 편견으로 가득하다는 것이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라는 제목 역시 ‘용감한 기사와 우아한 숙녀, 그리고 지주와 노예와 함께 존재하던 남부의 귀족적인 전통’이 사라지는 것을 아쉬워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1940년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13개 부문 후보에 오른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8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특히 여우조연상의 해티 맥대니얼은 흑인 최초의 아카데미상 수상자로 기록됐다. 그런데 1939년 12월 15일 애틀랜타의 로스 그랜드 시어터에서 열린 이 영화의 공식 시사회에 맥대니얼은 참석할 수 없었다. 흑인은 백인과 함께 극장, 야구장, 버스, 공공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당시 조지아주의 ‘짐크로법’ 때문이었다.
한국계 4명 등 8명의 사망자가 나온 애틀랜타 총격 사건의 성격을 두고 논란이 한창이다. 애틀랜타 경찰이 용의자의 진술 그대로 ‘성중독’을 거론하며 ‘인종적 동기에서 유발됐다는 초기 징후는 없다’고 주장한 탓이다. 미국에서 로스앤젤레스와 뉴욕 다음으로 많은 한국인이 모여 사는 도시다. 애틀랜타 경찰이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나 맥대니얼 시대 인종차별적 정서에 여전히 매몰되어 있다면 교민들이 ‘평등한 안전’을 누리기는 어려울 것 같아 걱정이다.
sol@seoul.co.kr
2021-03-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