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대전부 청사

[씨줄날줄] 대전부 청사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4-06-05 00:20
업데이트 2024-06-10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른바 회니시비(懷尼是非)는 조선 숙종 때 우암 송시열과 명재 윤증의 불화 속에서 두 사람의 제자들이 벌인 일련의 논쟁이다. 당대 정권을 잡고 있던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진 원인이 되었으니 우리 역사에 미친 파장이 작지 않았다. 그런데 이런 이름이 붙여진 것은 당시 우암과 명재가 각각 충청도의 회덕(懷德)과 이산(尼山)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암이 제자를 가르치며 학문에 정진하던 회덕의 남간정사는 이제 대전 동구의 우암사적공원으로 정비되어 있다. 역시 윤증이 학문을 닦던 충남 논산시 노성면의 터전도 명재고택이라 불리며 자연과의 조화가 빼어난 조선시대 대표적 양반 가옥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회덕은 대전 대덕구 회덕동으로, 이산은 정조가 고쳤다는 노성으로 뿌리를 잃지 않고 있다.

대전(大田)이란 땅이름은 ‘동국여지승람’(1469)에 가장 먼저 나타난다. 공주목 산내면 목척리에 있는 작은 마을이었다. 이후 김정호의 ‘대동지지’(1864)에 ‘대전천(大田川) 혹은 관전천(官田川)이라고도 한다’는 대목이 보인다. ‘호서읍지’(1871)에는 5일마다 서는 시장 이름으로 대전이 나온다고 한다. 그러다 1895년 고종의 지방행정구역 개편에서 회덕군 산내면 대전리라는 정식 행정 명칭으로 등장했다는 것이 학계의 연구 결과다.

잘 알려진 것처럼 한적한 고을이던 회덕이 대전이라는 이름의 대도시로 발전하는 계기는 1904년 경부선 철도의 개통이다. 1914년에는 호남선이 완공되어 대전이 두 철도의 분기점이 됐다. 인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그해 대전군을 설치하고, 1932년에는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옮겨 온다. 대전군은 1935년 대전부로 승격했고 1949년 8월 15일 비로소 대전시가 됐다.

근대모더니즘 건축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대전부 청사는 1937년 건립됐다. 이후 대전시가 1959년 대흥동에 새 청사를 지으며 대전상공회의소로 쓰이다 1996년 민간에 매각됐다. 대전시는 이 건물을 다시 사들여 2026년까지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역에서 지하철로 한 정거장, 중앙로역과 맞닿은 구도심의 복판이다. 근대 대전의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보여 주는 건강한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잡았으면 좋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4-06-05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