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찍으면서 느낀 감정을 많은 분들과 공유했으면 좋겠어요.”

배우 공유(32)는 요즘 자신의 이름이 특별하게 느껴진다고 했다. 한때 민망하기도 했던 이름이 의미있게 다가오는 이유는 자신이 주연을 맡은 영화 ‘도가니’ 때문이다. 작가 공지영이 청각장애인 학교에서 벌어진 실화를 바탕으로 쓴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이 작품에서 그는 진실을 파헤치고 약자들 편에 서는 교사 강인호 역을 맡았다.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공유를 만났다.

영화 ‘도가니’에서 기존의 ‘로맨틱 가이’라는 이미지를 벗고 연기 변신에 성공한 공유. 그는 “더 많은 사람들과 영화를 공유하고 싶다.”면서 웃었다.<br>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군 복무 당시 소설 ‘도가니’를 읽고 영화화 여부를 알아봤을 정도로 출연에 적극적이었다던데.

-원래 소설을 잘 읽는 편이 아닌데, 우연히 책을 접하고 나서 알 수 없는 분노와 가슴 속에서 뭔가 들끓는 느낌이 들었다. 실화인데, 그런 사실을 왜 이제 알았을까 하는 자책감과 함께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됐다. 한 사람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내가 처해 있는 상황과 환경에서 작은 도움이라도 줄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일까를 고민하게 됐고, 배우로서 영화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파급력 있게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본인이 판을 벌였으니 부담감도 상당했을 것 같다.

-소속사에서 영화사와 함께 소설 판권을 구매해 영화를 공동 제작하게 됐다. 막상 촬영에 들어가니 내가 순간적으로 뭔가에 꽂혀서 의욕만 앞선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금전적인 성패를 떠나서 취지 자체가 다른 영화이기 때문에 외면당한다면 많은 사람들의 수고가 물거품이 될 수도 있어서 주연배우로서 엄청난 책임감과 압박을 느꼈다. 다른 영화보다 더 치열하고 스스로를 괴롭히면서 찍었던 것 같다.

위부터 영화 ‘도가니’에서 진실을 파헤치는 교사 강인호 역을 맡은 공유. 인호와 함께 고통받는 아이들을 돕는 인권센터 간사 서유진 역의 정유미. 인호는 우리 사회가 마주하기 힘든 불편한 진실을 차근차근 끄집어낸다.


→원작자인 공지영 작가는 직접 만나봤나.

-영화 잘되라고 고사를 지낼 때 처음 봤다. 별다른 얘기는 없었다. 하지만 말을 하지 않아도 교집합이 느껴지는 부분이 있었다. 소설가라서 어렵고 불편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편했다. 영화에 출연하는 어린 배우들을 보고는 울컥해 일일이 안아주시더라. 나 역시 처음 수화를 배우고 아이들을 본 순간 비슷한 생각이 들었다. 그 마음이 이해가 됐다.

→영화는 2005년 교직원이 청각장애 학생들을 성폭행한 광주 인화학교 사건을 토대로 하고 있다. 실제 사건이기는 하지만 영화로 마주하기엔 불편한 진실일 수도 있다.

-물론 ‘도가니’는 마음 편하게 볼 수 있는 영화는 아니다. 때로는 가슴이 먹먹하고 보기에 힘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와서 보신다면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저의 연기 변신을 보기 위해 극장에 오신 분들도 영화를 본 뒤에는 아마 생각이 바뀔 것이다.

→관객들과 어떤 부분을 공유하고 싶나.

-소설 속 무기력한 인호의 모습을 보면서 나 자신이자 우리의 모습이라고 생각했다. 저를 비롯해 오직 앞만 보고 달려온 사람들이 영화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주변을 살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함께 경험하고 느낀다면 문화적인 힘이 생길 수 있고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평소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았나.

-이 영화를 하기 전에는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었다. 그냥 뉴스에서 기가 믹힌 사건이 나오면 씁쓸해하는 정도였다. 그렇다고 이 작품 한편으로 사회 참여에 발 벗고 나서는 것처럼 비쳐지는 것은 너무 거창한 것 같다. 제가 좀 더 성숙하고 깊어지고 신뢰감이 있는 배우가 된다면, 사회적인 일들을 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소설과 영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영화에서는 인호의 캐릭터가 훨씬 더 용감하고 동적으로 그려진다. 처음에는 인호가 현실적으로 보이도록 더 남루하고 초췌하게 그리고 싶었지만, 감독님과 적절히 절충했다. 인호가 감정을 분출하는 순간, 관객들도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로맨틱 코미디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내 ‘로맨틱 가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 작품은 기존의 이미지와는 상당히 다른데.

-실화 소재 영화도 처음이고, 전작들과는 상반된 캐릭터이기 때문에 내게는 큰 도전이었다. 기존에는 캐릭터를 겉으로 드러내는 부분이 많았는데, 이번 작품에서는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인물이라 연기하기 어려웠다. 생각이 많아지니 자꾸만 눈과 목에 힘이 들어가고 몸이 경직됐다. 연기하는 것만으로 벅차 이미지 관리는 신경 쓸 겨를이 없었다. 그리고 그렇게 전략적이지도 못하다. 많은 분들이 의외로 받아들이시는데, 공유의 연기 변신에만 초점이 맞춰져 자칫 영화에 방해가 될까 봐 걱정도 된다.

→대중적인 이미지와 실제 성향 사이에 차이가 좀 있는 것 같다.

-아날로그적인 정서도 있고, 마이너 성향이 좀 있는 편이다. 영화는 가리지 않고 보는 편이지만, 독립 영화를 좋아한다. 출연할 의사도 있다. 인디밴드 음악도 좋아한다. 군대에서 라디오 DJ를 할 때 인디밴드들을 스튜디오에 초대해 소개하기도 했다. 불친절해도 소신 있고 뚝심 있는 사람들에 대한 존경심이 있다. 독립영화나 인디밴드가 때로는 널리 알려진 영화나 뮤지션보다 훌륭한 메시지를 전달할 때도 있다.

→드라마 출연 계획은.

-전작 ‘커피프린스 1호점’(커프)의 후광이 세서 작품 선택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기대에 못 미치면 (팬들이) 실망할 것 아닌가. 시청률 면에서도 그렇지만, 배우로서 ‘커프’의 최한결을 뛰어넘고 싶은 욕심이 있다. 내년에는 한편 정도 출연하게 되지 않을까.

군대를 다녀오고 30대에 접어든 공유는 한층 여유롭고 성숙해져 있었다. 이제 연기파 배우의 길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말에도 한사코 팔을 내저었다. 예전에는 그런 말을 듣고 싶었지만, 이제는 어떤 기준이나 잣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연기하고 싶단다. 대중성과 예술성의 균형을 잡아가며 자연스럽게 늙어가고 싶다는 공유. 영화에서 자신을 드러내기보다는 더 많은 사람이 도가니 속으로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그는 진짜 배우의 모습에 한발 더 다가선 것처럼 보였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