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3부작 다큐 ‘손, 대한민국을 만들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와 측우기, 철갑선 등 뛰어난 손기술을 자랑했던 대한민국. 그 손기술의 역사는 지금 세계 최고의 반도체, 조선, 정밀기술 등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올해 세계기능올림픽 종합 우승으로 대한민국의 손기술이 또 한번 세계를 놀라게 했다. 5일부터 매주 화요일 밤 10시 50분에 방송되는 KBS 다큐공감 3부작 다큐멘터리 ‘손, 대한민국을 만들다’에서는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산업을 만들어 가는 젊은 ‘골드 핑거’들을 만나 본다.

뛰어난 손기술을 가진 한국의 ‘골드 핑거’들을 만나 보는 3부작 다큐멘터리 ‘손, 대한민국을 만들다’의 한 장면.<br>KBS 제공


뛰어난 손기술을 가진 한국의 ‘골드 핑거’들을 만나 보는 3부작 다큐멘터리 ‘손, 대한민국을 만들다’의 한 장면.<br>KBS 제공
5일에는 세 가지 이야기가 방송된다. 먼저 ‘한국 손기술, 세계를 놀라게 하다’에서는 한국인의 타고난 손기술에 대해 전한다. 최근 의료 선진국인 미국과 유럽에서 의료 기술을 배우기 위해 한국을 찾고 있다. 다른 분야에서라면 몰라도 로봇 수술에서는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다. 로봇 수술은 로봇을 이용한 첨단 수술 기법으로, 얼마나 정교하게 기계를 조작하느냐가 관건이다. 한국 의사들의 경쟁력은 바로 뛰어난 손기술에 있다. 디자인 선진국인 이탈리아에서 한국을 찾은 유명 디자이너도 있다. 우연히 본 ‘나전칠기’의 아름다움에 반해서였다. 이후 나전칠기는 세계적인 디자이너의 작품으로 재탄생하며 그 명성을 세계 무대로 넓히고 있다.

‘20세기의 메달리스트와 21세기의 메달리스트’에서는 1960~70년대 국제기능올림픽 메달리스트와 현재 메달리스트의 이야기를 다룬다. 제작진은 스포츠 스타를 능가하는 인기를 얻었던 예전 기능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의 증언과 뒷이야기를 들어보고, 이번 독일 국제기능올림픽 자동차 정비 부문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강태호 선수의 ‘메달 그 이후’ 삶도 취재했다. 또 기능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고 싶은 꿈나무들과 2013 전국기능대회 현장을 생생히 취재해 앞으로 ‘기능인 지원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본다.

‘기능 강국의 청년들을 만나다’ 에서는 독일, 스위스에서 장인을 꿈꾸는 청년들을 만나 본다. 독일의 자동차 정비업체는 장인을 꿈꾸는 청년들로 늘 붐빈다. 독일 사회에서 장인이 된다는 것은 존경과 경제적 안정 그리고 사회적 역할을 모두 보장받는다는 이야기와 같다. 시계의 나라로 유명한 스위스의 작은 마을에 자리한 시계학교에는 전 세계에서 ‘시계 장인’을 꿈꾸는 청년들이 모여든다. 그들은 시계를 만드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시계를 통해 장인정신, 작은 부품 수백개를 컨트롤하는 집중력과 인내심, 장인으로서의 자부심까지 배운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