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드족 이라크총선 ‘킹메이커’

쿠르드족 이라크총선 ‘킹메이커’

입력 2010-03-03 00:00
업데이트 2010-03-0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구의 17%·강한 결집력… 시아·수니파 러브콜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이 화학가스 공격으로 쿠르드족을 대량학살했던 1988년만 해도 쿠르드족은 핍박받는 유랑민족에 불과했다. 하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 이라크에서 쿠르드족은 오는 7일 총선 이후 신임 총리를 결정하는 열쇠를 쥔 ‘킹 메이커’로 급부상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오는 7일로 예정된 총선 뒤 시아파나 수니파 정당들이 쿠르드 정파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부족 전통이 강한 이라크에서는 자기 부족과 종파를 대표하는 정당에 표를 몰아주는 투표성향을 보이기 때문에 특정 정당이 과반의석을 차지하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특정 정당이 쿠르드 정파의 지지를 확보할 경우 과반의석을 확보할 수 있다.

이라크는 현재 전체 국민의 60%를 차지하는 시아파조차 단일 정당으로 통일돼 있지 못하며, 상호 견제가 심해 연합 가능성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쿠르드족은 이라크 인구의 약 17%를 차지하며 오랜 탄압 때문에 강한 결집력을 자랑한다.

쿠르드애국동맹(PUK)과 쿠르드민주당(KDP) 등 쿠르드 정파는 2005년 총선 당시에도 도합 53석을 차지하며 시아파 통합이라크연맹(UIA)에 이어 2위를 기록해 누리 알 말리키 총리를 선출하는 데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 바 있다.

쿠르드 정파들은 이번 총선에서 아랍계 정당들의 러브콜을 받을 경우 적지 않은 대가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대형 유전을 끼고 있는 키르쿠크 지역을 쿠르드자치지역에 편입시키는 방안, 외국 기업과 개별적으로 체결한 유전 개발계약에 대한 중앙정부의 승인 등 아랍계가 선뜻 수용하기 어려운 요구들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AP통신은 내년에 미군이 철수하고 나면 키르쿠크는 쿠르드와 아랍 양측의 이해가 충돌하는 ‘화약고’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2일 보도했다. 이 통신은 선거를 앞둔 키르쿠크에서는 아랍족과 투르크멘족 연합후보가 쿠르드족 후보에 맞서 선거전을 치르는 양상이라고 덧붙였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0-03-03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