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평등 이룬 북유럽 GDP 높아”

“남녀평등 이룬 북유럽 GDP 높아”

입력 2010-03-11 00:00
업데이트 2010-03-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경쟁력과 상관관계 살펴보니

│스톡홀름 정은주 순회특파원│여성 고용률이 높고 직장 내 성평등을 이룬 기업일수록 생산성도 높다는 연구보고서가 유럽에서는 쏟아진다. 한 발 나아가 성평등 사회를 이루면 국내총생산(GDP)이 증가해 국가경제가 발전한다고도 말한다.

지난해 10월15~16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럽연합(EU) 주최 콘퍼런스 ‘성평등이 경제성장과 고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서 경제 전문가들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는 전체 고용률을 높이고 성평등은 경제의 선순환을 일으킨다고 밝혔다. 그 이유를 남성과 다른 여성의 소비성향에서 찾았다.

돈을 벌면 여성은 저축하고 자녀와 가정에 필요한 물품을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비형태는 고용과 시장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한다. 또한 엄마의 취업은 빈곤한 아동의 감소로 이어진다. 한부모 가정, 특히 안정된 직장이 없는 편모 가정 아이들이 주로 가난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유능한 인적 자원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도 여성의 직장 참여는 긍정적이다. 남성, 여성을 뒤섞어 능력대로 평가해 뽑는 것이 남성에서만 뽑을 때보다 생산성 높은 직원을 고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직장일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여성 소비자가 늘어가는 추세라 ‘여심(女心)’을 읽는 기업의 시장 전략이 점점 더 필요하다.

스웨덴 통합성평등부 라르스 위턴마크(62) 고문은 “한쪽 눈으로만 세상을 보는 것과 두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의 차이”라면서 “두 눈이 생산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스웨덴 우메아 대학의 아사 로프스트롬 교수는 콘퍼런스에서 “성평등을 이룬 북유럽 국가의 GDP가 높다.”면서 “고용, 임금에서 성차별이 없어지면 유럽국가의 GDP는 27%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평등과 출산율도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일하는 여성을 덜 지원하는 국가가 낮은 출산율을 경험하고 있다. 일본, 이탈리아, 독일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의 여성 평균임금은 남성보다 38%나 적고, 대학 졸업자 취업률도 남성보다 20% 포인트나 낮다.

ejung@seoul.co.kr
2010-03-11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