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성, 행성을 삼키다

항성, 행성을 삼키다

입력 2010-05-26 00:00
업데이트 2010-05-2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 오픈대학 연구진이 허블망원경을 이용해 항성(붙박이별)이 행성을 ‘잡아 먹는’ 증거를 확인했다고 BBC방송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천문학자들은 그동안 항성이 근접 궤도의 행성을 먹어 삼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 과정을 명확하게 포착하기는 처음이다. 우리가 사는 태양계에 빗대서 말한다면 태양(항성)이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인 수성을 끌어당겨 삼켜 버리는 셈이다. ‘아마도 우주에서 가장 수명이 짧은’ 문제의 행성은 허블망원경이 촬영하기에는 너무 거리가 멀어 망원경이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진이 이미지로 재구성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소행성이 항성에 너무 근접해 있어서 공전주기가 지구 기준 1.1일밖에 안 되며 표면 온도는 1500도에 달한다. 하지만 소행성이 완전히 사라지려면 아직도 약 1000만년이 남아 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0-05-26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