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 “한반도 20년來 가장 심각한 위기”

워싱턴포스트 “한반도 20년來 가장 심각한 위기”

입력 2010-05-27 00:00
업데이트 2010-05-27 07: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자멸적 조치..‘외풍맞서며 결속도모’ 전술”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26일 천안함 사건에 대한 한국 정부의 조치에 맞선 북한의 남북관계 단절을 선언 내용을 전하면서 “무력 충돌의 위험을 고조시키고 20년 이상 만에 한반도에 가장 심각한 위기를 낳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이날 이례적으로 1면 톱기사로 ‘북, 한국과의 모든 관계 단절’이라는 한반도 관련 기사를 게재하면서 이같이 전했다.

특히 북한의 이번 조치와 관련, “자멸적(self-destructive)인 것으로 보이는 그들의 조치들에 대한 확실한 설명은 없다”면서 “부유한 한국에 타격을 주는 것보다 북한의 붕괴하는 경제에 더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WP는 스스로 불을 붙이는 광기와 같은 것으로 외부에는 보여질 수 있는 이런 조치들이 북한의 입장에서는 정권유지용 방안이 여전히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외부와의 갈등을 내부 결속 강화에 사용하는 북한의 오랜 행동 패턴이 다시 작동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WP는 “북한 선전기관은 외부세계에 대한 김정일의 반항을 (내부의) 민족주의적 열정을 유발하고, 점점 더 암울한 상황으로부터 북한 주민들(의 관심)을 분산시키는데 이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브라이언 마이어스 동서대 교수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김정일 정권은 강한 군사력에 대한 자긍심 외에 대중의 지지를 이끌어낼 만한 다른 소재가 없다”며 “북한의 호전적인 행위는 이런 북한 시스템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외부와의 갈등이 김정일 독재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조작되고, 만성적인 빈곤에 대한 변명 거리를 제공해 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신문은 천안함 사건 공동 대응 등을 집중적으로 다룬 제2차 미.중 전략경제대화 결과와 관련한 별도의 기사에서 “이란과 북한 및 다른 핵심 현안들에 대해 어떤 중요한 진전도 이루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미.중 양국이 일부 합의문에 서명하기도 했지만, “더 큰 이슈들에 있어서는 중국이 움직이지 않았다”면서 “중국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한국의 보고서 결과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워싱턴=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