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문 두드리는 짐바브웨 난민들

남아공 문 두드리는 짐바브웨 난민들

입력 2010-06-08 00:00
업데이트 2010-06-0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재 피해 매일 300여명 망명시도

‘여행이 고되지는 않을까. 범죄가 기승을 부린다던데…. 비용은 어떻게 마련하지.’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을 앞둔, 축구팬의 ‘행복한 고민’이 아니다. 짐바브웨에서 반독재 투쟁에 나섰다가 6개월된 딸아이가 보는 앞에서 죽을 만큼 맞고 쓰러지면서 고국을 떠나야겠다고 마음 먹은 22세 바버라, 그가 국경을 건너기 전 속을 끓였던 이유들이다. 전 재산을 털고 빚을 내, 매일 300명가량 되는, 짐바브웨와 남아공을 가르는 림포포강을 건너는 사람들과 운명을 함께 했다. 친척이 준 돈으로 ‘가이드’를 구했지만, 돈도 빼앗기고 성폭행까지 당했다. 바버라는 “운이 나빴으면 에이즈 감염자에게 걸렸을 것”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했다고 인디펜던트가 7일 보도했다.

지난해 2월 독재 체제가 무너지고 거국 정부가 들어선 이후 남아공 정부는 “짐바브웨에 위기는 없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15개월이 지난 현재 매주 2100명이 망명 신청을 하기 위해 남아공 국경 무시나의 내무부를 찾는다. 여권 발급 비용만도 한달 수입의 2배를 훌쩍 넘기 때문에 빈손으로 이곳을 찾는 사람이 많아 실제로 망명 지위를 얻는 사람은 1% 정도다.

어렵게 남아공에 들어온 사람들은 최소 70만명. 하지만 남아공에서는 ‘인종 증오 범죄’라는 위험이 기다리고 있다.

또 다른 망명자인 이스마엘(버림받은 자라는 뜻) 카우자니는 “월드컵은 즐거운 행사죠. 하지만 우리에게는 종말의 시작입니다. 남아공이라는 천국의 문이 닫히고 있어요.” 씁쓸한 그의 눈동자에는 월드컵 분위기가 한껏 나는 요하네스버그 거리의 인파가 비치고 있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0-06-08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