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위안화 관리변동환율제 복귀

中 위안화 관리변동환율제 복귀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이 관리변동환율제로 복귀하겠다고 밝혔다. 위안화 환율이 절상된다는 얘기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7월 달러당 6.82위안 수준으로 묶으면서 사실상 고정환율제로 돌아간 지 23개월 만의 변화다. 2005년 7월 관리변동환율제를 도입한 뒤 3년간 위안화는 달러화 대비 21% 절상됐다.

이미지 확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9일 홈페이지를 통해 “위안화 환율결정시스템을 한 단계 더 개혁해 위안화 환율의 유연성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일단 기존 환율변동폭 내에서 환율을 관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유명무실하긴 하지만 현재 공식적인 위안화의 하루 환율변동폭은 달러화에 대해 ±0.5%, 유로화나 엔화 등에 대해서는 ±3%다.

금융시장이 위안화의 절상 수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대폭 절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우세하다. 현재로서는 2~3% 절상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유로화 가치하락 등을 이유로 위안화가 연내 3% 이상 절상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중 한국대사관의 유광열 재경관도 “단기적으로 수출둔화에 대한 부담 등 때문에 약 3% 선에서 절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중국 내 금융전문가들의 의견도 비슷하다.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인 칭화대 금융학과 리타오쿠이(李稻葵) 교수는 “위안화 환율이 향후 훨씬 유연해질 것”이라면서도 “단기간에 큰 폭의 절상은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 교수는 위안화 환율 절상폭과 관련, 유로화 가치의 추가 하락 여부와 달러화의 안정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미국과 유럽 등의 강력한 절상 요구에 꿈쩍도 않던 중국이 위안화 환율 절상 쪽으로 방향을 튼 이유와 관련, 오는 26일부터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둔 선제적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이 G20 정상회의에서 위안화 환율 문제를 집중거론하겠다고 별러온 탓이다. 또 글로벌 경제의 V자형 회복추세와 인플레이션 부담에 따른 중국 정부의 자연스러운 선택이라는 분석도 있다. 리 교수는 이번 조치에 대해 “물가상승 압력을 완화하고, 수출주도형 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두 가지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수출주도에서 내수중심으로 성장방식의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코트라 베이징 코리아비즈니스센터(KBC)의 박한진 부장도 “중국 금융정책의 특성상 점진적으로 진행하겠지만 환율 절상은 내수시장 확대와 인플레 방지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06-21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