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는 뇌를 춤추게 한다

휴대전화는 뇌를 춤추게 한다

입력 2011-02-24 00:00
업데이트 2011-02-24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휴대전화로 오래 통화하면 안테나 근처의 뇌 부위 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동전화의 전자파 유해론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뇌 활동에 눈에 띄는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이미지 확대
미국 보건원 산하 국립약물남용연구소의 연구팀은 휴대전화를 1시간 남짓 사용하면 안테나가 닿는 귀 근처의 뇌 부위인 안와전 두피질과 측두근의 뇌 세포 활동이 평소보다 약 7%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CNN 등 외신이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사협회 저널 최신호를 통해 발표됐다.

연구팀은 실험에 참가한 건강한 성인 47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의 전원을 켠 채 50분 동안 귀에 대고 있게 하고는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으로 뇌의 활동을 지켜봤다. 관찰 결과 전원이 켜졌을 때 뇌 일부 부위의 포도당 대사량이 증가했다. 포도당 대사량은 뇌가 얼마나 활발하게 활동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뇌 세포가 활성화돼 에너지 소비량이 늘면 상승한다.

연구를 이끈 노라 볼코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휴대전화의 전자기장이 우리 뇌에 생각보다 훨씬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무선통신산업협회인 ‘CITA’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고 주장하는 등 전자파가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된 근거가 없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휴대전화의 ‘뇌질환 유발설’을 연구하는 데 있어 의미있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 뇌 활동이 인위적으로 증가한 것이 당장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지는 분명히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뇌 세포의 활동은 머릿속에 종양이 자랄 때도 활성화하지만 복잡한 문제를 생각하거나 밥을 먹고 움직이는 등 일상생활을 할 때도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볼코 박사는 “뇌 세포 활동량의 증가가 뇌뿐만 아니라 인간의 다른 장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2-2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