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반군숨통 압박..국제개입 공전거듭

카다피, 반군숨통 압박..국제개입 공전거듭

입력 2011-03-15 00:00
업데이트 2011-03-15 09: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군거점 벵가지 길목에 정부군 공세강화반군, 시위 1개월만에 중대 고비

리비아 사태 개입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는 동안 철권 통치자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는 우세한 전력을 앞세워 서서히 반군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카다피 친위부대는 14일(이하 현지시각) 전투기를 동원, 반군 세력이 힘겹게 지키고 있는 동부의 교통요충지 아즈바디야 내 무기저장소 등을 공습하는 한편 서북단 도시 주와라에서 반군을 공격했다.

벵가지에서 남쪽으로 140㎞ 거리인 아즈바디야는 반군 거점인 벵가지로 가는 길과 카다피군이 최근 탈환한 동쪽 국경 인근 도시 토브루크로 가는 길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카다피군이 아즈바디야를 장악할 경우 벵가지의 반군 세력은 포위되는 형국이 된다.

또 주와라의 경우 이날 전투 끝에 카다피군에 장악됐다는 주민들의 전언이 들려오고 있다.

지난 일주일 동안 카다피군에 밀려 동쪽으로 200km 가량 퇴각한 반군은 카다피군이 벵가지에서 170km 거리까지 밀고 들어옴에 따라 지난달 15일 반 카다피 시위 발발 이후 한달 만에 중대 기로에 섰다.

반군이 국제사회의 비행금지구역 설정 및 카다피측 군사시설에 대한 공습을 요청하고 있지만 유엔과 주요 8개국(G8) 외무장관회의(파리) 등에서 진행중인 리비아 사태 개입 논의는 뚜렷한 성과없이 공회전을 계속했다.

유엔 안보리는 14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3시간에 걸친 비공개 회의를 진행했지만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관련된 어떤 결과도 이끌어내지 못했다.

반 카다피 세력의 대표기구인 ‘국가위원회’를 승인한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리비아 상공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설정 등을 담은 유엔 안보리 결의 초안을 마련했지만 러시아는 비행금지구역 설정의 주체와 방법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이 남아있다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미국이 군사개입에 대한 신중론을 견지하고 있는 가운데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서도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한 합의가 요원한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리비아 정부는 시위 사태 이후 근로자 안전 문제로 생산을 중단한 프랑스 토탈 등 유럽 석유회사들을 대신해 생산활동을 할 중국.러시아.인도 등의 석유업체들을 초청했다고 리비아 국영 뉴스통신사가 이날 보도했다.

이와 함께 리비아 국영TV는 석유 터미널들이 안전한 상태라며 외국회사들에 유조선을 보낼 것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