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英 “80㎞” vs 日 “20㎞”…대피반경 진실은

美·英 “80㎞” vs 日 “20㎞”…대피반경 진실은

입력 2011-03-18 00:00
업데이트 2011-03-18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사성물질 대피반경은 20㎞? 80㎞?’

미국 행정부가 16일 ‘화약고’로 돌변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인근 80㎞ 이내 거주 자국민에 대해 대피를 권고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원전 인근 20㎞ 내 주민에게만 대피령을 내린 일본 당국의 조치보다 훨씬 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는 미국처럼 80㎞ 내를 위험지대로 설정했고 영국과 호주, 뉴질랜드 등도 자국민에게 “원전 반경 80㎞ 밖으로 나가라.”고 권고하고 나섰다.

이미지 확대


전문가들에 따르면 방사성물질 유출 때 대피령 범위에 대한 국제적 기준은 없다. 이 때문에 미국이 상황의 예측불가성을 감안해 보수적 결정을 내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균열(원자핵공학과) 서울대 교수는 “원전 상황이 워낙 가변적인 탓에 위험반경 설정 문제는 현재 별 의미 있는 주제가 아니다.”라면서 “미국의 의도는 (거리와 상관없이) 최대한 멀리 가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사능 낙진의 파급 반경은 방사성물질의 분출 세기나 분출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원전 폭발사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만큼 어디까지가 안전한지 가늠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이 새로운 정보를 근거로 대피범위를 설정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그레고리 야즈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위원장은 이번 80㎞ 대피권고안에 대해 “NRC가 입수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결국, NRC가 제1원전의 상황이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악화됐음을 보여 주는 다양한 증거를 찾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낙진 범위를 지나치게 넓혀 예측하거나 유해성을 과장할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사히신문은 제1원전 서쪽에 산이 있고 주로 서풍이 불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유출돼도 내륙으로 확산되기보다는 바다로 날아갈 공산이 크다고 분석했다. 또 장순흥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원자력 및 양자공학과)는 “일정 거리 이상의 지역에서는 방사성물질이 검출돼도 미량에 불과해 인체에 유해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3-18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