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카다피 축출엔 개입 안해”

美 “카다피 축출엔 개입 안해”

입력 2011-03-30 00:00
업데이트 2011-03-30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라크전 비용 부담 되풀이할 여유 없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제국의 황제’로서 차마 입 밖에 내기 싫었을 법한 말을 끝내 하고 말았다.

리비아 군사작전에서 어정쩡한 모습을 보인 이유는, 바로 돈과 목숨을 아끼기 위해서였다고 털어놓은 것이다. 오바마는 이 ‘구차한’ 말이 하기 싫어서 리비아 공습이 개시된 날 브라질에 가 있었고 그동안 국민과 의회를 가급적 피했다.

하지만 “전쟁 목표가 도대체 무엇이냐.”는 여론의 화살을 끝내 비켜가지 못한 오바마는 결국 생방송 카메라 앞에 서서 힘에 부쳐 허덕지덕하는 미국의 자화상을 국민과 전 세계 앞에 공개했다.

연설에서 리비아 방공시설 파괴와 카다피군 보급 차단 등의 성과를 열거하면서 “오늘 밤 나는 카다피의 ‘죽음의 진격’을 저지했다고 보고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내 오바마는 “카다피가 권력을 잃게 된다면 상황은 개선될 것이지만, 군사개입의 임무를 정권교체로까지 확대하는 일은 실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일 힘으로 카다피를 축출하려고 시도한다면, 연합군은 분열될 것이고 미국은 지상군을 투입해야 하거나 공습으로 많은 리비아 시민을 살상할 수도 있다.”면서 “그렇게 되면 미군의 위험도 훨씬 커지고, 이후 발생할 미국의 비용과 책임 부담도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라크 정권교체를 달성하는 데 8년의 세월과 수천명의 미국인 및 이라크인의 목숨, 1조 달러의 전쟁비용이 필요했다고 설명한 뒤 “우리는 이런 일을 리비아에서 되풀이할 여유가 없다.”고 토로했다.

오바마는 “설령 카다피가 권좌에서 물러난다 하더라도 합법적 정부로의 전환은 힘든 과제가 될 것인데, 결국 이는 리비아인들의 손에 달렸다.”는 말로 정권 교체 자체에 대한 회의의 일단도 드러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3-30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