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킹 美인권특사 24∼28일 방북

로버트 킹 美인권특사 24∼28일 방북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무부 “USAID 포함 방북팀 북한식량사정 평가”

로버트 킹 미국 대북인권특사가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북한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국무부가 20일 발표했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킹 특사가 북한식량평가팀을 이끌고 방북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킹 특사가 이끄는 방북팀에는 미국의 대외원조를 담당하는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USAID) 해외재난지원국의 존 브라우스 부국장(전 북한담당관) 등 식량전문가들이 포함된다.

토너 부대변인은 “킹 특사 방북팀은 북한의 식량 수요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현장 조사 활동을 벌일 것이며, 평양에서 북한 당국자들과도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킹 특사의 평양방문은 지난 2009년 12월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방북이후 미 행정부 고위당국자로서는 첫 방북으로 식량문제 외에 6자회담 재개, 남북 및 북미관계 개선 방안 등에 대해서도 당국간 대화가 이뤄질 지 주목된다.

토너 부대변인은 “지난 2009년 3월 대북식량지원이 중단됐다”며 “방북팀은 현장조사를 벌일 것이며, 그 평가는 이번 조사를 비롯, 세계식량기구(WFP)와 다른 미국의 비정부기구들에 의해 이뤄진 판단들을 바탕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북활동은 우리의 식량원조 프로세스의 한 부분으로서, 무엇보다도 철저한 수요 조사를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라며 “이외에 식량지원을 위해서는 적합한 프로그램 관리와 모니터링, 배분 현장 접근도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너 부대변인은 “방북팀 파견이 곧바로 우리가 북한에 식량지원을 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북한 수요 평가를 위한 첫 조치”라고 말했다.

그는 방북팀은 식량이 지원될 경우 북한 주민들에게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도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토너 부대변인은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았지만 식량평가팀이 미국으로 돌아오면 현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식량지원 여부에 대한 결정 검토 절차가 진행될 것이며 대북식량지원 단체들은 물론 한국 정부와도 협의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토너 부대변인은 북한 식량평가 방북팀은 중국 베이징을 통해 평양으로 들어갈 예정이며, 현지 조사 활동 상황에 따라 북한 체류 기간이 약간 더 길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