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학가스 자살’ 확산

美, ‘화학가스 자살’ 확산

입력 2011-06-20 00:00
업데이트 2011-06-20 07: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정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혼합해 만든 유독가스를 마시고 자살해 일본에서 ‘세척제 자살(Detergent Suicide)’로 알려진 자살 방식이 미국에서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9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한 집계를 인용해 지금까지 2천명 이상이 밀폐된 공간에서 황화수소 등의 유해가스를 마시고 숨졌다면서 이는 특히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이나 소방관, 인근 주민들에게 까지 피해를 주고 있어 경찰이 긴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08년 이래 미국에서 보고된 72건의 화학물질 자살 중에서 최소한 80% 이상은 경찰이나 소방관, 인근 주민들의 부상과 피해를 초래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에서 작년에는 이런 자살이 36건이었고 올 들어 최근까지는 27건에 달했다.

이런 자살자들은 대개 문을 잠근 자동차 안에서 화학물질을 혼합해 유독가스를 만든 뒤 이를 마시고 숨을 거두는데 나중에 경찰이나 소방관이 신고를 받고 출동해 자동차 문을 열거나 유리창을 깨는 순간 번져나와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피해를 준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지난 2008년 14세의 어린 소녀가 이를 이용해 자살한 뒤 이웃주민 90여명이 가스를 마시고 두통 등의 증상을 호소했으며 24세의 한 남성이 자살한 뒤에는 인근 지역 주민 350명이 대피하기도 했었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자살자가 죽기전 내부에 유해 화학물질과 가스가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문구를 자동차 유리창에 붙여놓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이런 자살방식이 확산되는 이유는 유해가스를 만드는 데 필요한 화학물질이 혼자서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인데다 인터넷에 화학물질 혼합 및 유해가스 제조법이 떠돌고 있기 때문이다.

미시간주 레이크카운티의 한 경찰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자살 사건은 한 명의 희생자만 발생한다”면서 “하지만 이런 형태의 자살은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간에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줄 잠재력이 있어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