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권통치 독재자에서 ‘도망자’ 전락한 카다피

철권통치 독재자에서 ‘도망자’ 전락한 카다피

입력 2011-08-22 00:00
업데이트 2011-08-22 15: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아프리카에서 시작된 민주화 시위의 격랑이 리비아에 도달한 지 6개월 만에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가 반군에 쫓기는 ‘도망자’ 신세로 전락했다.

올해 초만 해도 리비아를 42년간 통치한 절대 권력자 카다피가 초라한 신세로 권력을 잃으리라고는 누구도 상상하기 어려웠다.

전 세계에서 최장수 국가원수 자리를 지켜온 카다피는 아랍민족주의자였던 이집트 전(前)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를 ‘롤 모델’로 삼아 자유장교단을 결성했다.

지난 1969년 친(親)서방 성향의 왕정을 무혈 쿠데타로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은 카다피는 1977년에는 사회주의와 이슬람주의, 범아랍주의를 융합한 ‘자마히리야(인민권력)’ 체제를 선포하고 독특한 형태의 ‘인민 직접민주주의’를 구현하겠다며 의회 제도와 헌법을 폐기하고 전제 권력을 휘둘렀다.

카다피가 통치한 지난 40여년간 리비아는 각종 테러는 물론 반미(反美) 무장단체 지원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악명이 높았다.

특히 1988년에는 영국 스코틀랜드 로커비 상공에서 270명이 탑승한 미국 팬암기를 폭파시켜 국제사회의 손가락질을 받았고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중동의 미친개”라는 비난까지 듣기도 했다.

2003년에는 팬암기 사건 유족들에게 보상을 약속하는가 하면 대량살상무기(WMD) 포기를 선언하며 서방과 ‘화해 무드’에 돌입했으나 리비아와 국제사회 사이의 갈등은 이후에도 계속됐다.

2008년에는 카다피 국가원수의 넷째 아들 부부가 스위스의 한 고급호텔에서 가정부를 폭행한 혐의로 체포된 사건과 관련, 대(對) 스위스 석유 공급을 줄이는 등 보복 조처를 하면서 스위스와 2년간 외교분쟁을 겪었다.

또 2009년에는 스코틀랜드 자치정부가 리비아 유전 개발과 관련한 영국 기업의 로비설에 휩싸인 채 팬암기 폭파 사건 피의자를 석방해 미국이 이에 반발하기도 했다.

카다피는 이후에도 서방 국가는 물론, 사우디 아라비아 등 친서방 아랍국가를 비판하며 자신이 ‘아랍권 리더 중의 리더’라고 자칭해왔다.

하지만, 그는 중동과 북아프리카 민주화 시위의 영향을 받은 자국 시위대와 반군이 올해 초 리비아 제2의 도시 벵가지를 중심으로 “정권 퇴진”을 요구하며 무력 행동에 돌입하면서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카다피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유혈 진압에 나섰으나 결과적으로 반군의 공세와 나토의 공습에 직면하는 ‘자충수’를 둔 셈이다.

이후 정부군과 반군이 6개월간 내전을 벌인 끝에 반군이 수도 트리폴리를 사실상 함락함으로써 40년 넘게 이어 온 카다피의 철권통치에도 마침내 마침표가 찍힌 셈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