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질병 사망보다 사고死 비중 더 커

아프리카, 질병 사망보다 사고死 비중 더 커

입력 2011-09-16 00:00
업데이트 2011-09-16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고 예방 위한 대책 마련 필요



아프리카에서 미비한 규제와 기반시설 등으로 인한 사고 피해로 숨지는 사람이 취약한 위생으로 병에 걸려 사망하는 사람보다 훨씬 더 많으며, 이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5일(현지시각) 매년 세계적으로 580만명이 사고나 재해 피해로 숨지는데, 이는 전체 사망자의 10%에 해당하며 말라리아나 결핵, 에이즈로 숨지는 사람보다 32%나 많은 수치라고 밝혔다.

특히 빈곤한 아프리카 국가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재정난을 겪고 있는 정부가 시민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안전에 투자하기에는 지나치게 궁핍하기 때문이다.

에티엔 크루그 WHO 폭력·손상예방 및 장애 담당 국장은 “가난과 강한 연관이 있는 것이 명백하다”며 모두 사고나 재해로 신체적 피해를 볼 수 있지만, 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더 위험한 곳에 거주하고 일하며, 더 안전하지 못한 수단으로 여행하기 때문에 피해 가능성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서는 최근 끔찍한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탄자니아 동부에서 여객선이 침몰해 200여명이 숨졌고, 케냐에서는 12일 송유관 폭발로 빈민가에 대형화재가 발생해 100명이상이 사망했다.

이 밖에도 13일에는 케냐의 한 지방도시에서 밀주를 마신 수십 명이 메탄올 중독으로 숨졌고, 14일에는 앙골라에서 비행기가 추락해 30명이 목숨을 잃었다.

자동차나 배 사고는 너무 자주 발생해 셀 수 없을 정도다.

크루그 국장은 “이런 피해 발생원인은 대부분 막을 수 있는 것들이다”면서, 정부는 물론 일반 시민도 불필요한 죽음을 막도록 더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염병 조사나 예방을 위해서는 매년 십수 억 달러가 기부되고 있지만 다른 신체적 피해 원인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크루그 국장은 “아프리카에서 새로운 길이 만들어지고 이동 속도도 빨라지고 있지만 정작 가장 우선시해야 할 보호를 위해서는 이뤄진 것이 별로 없다”면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전벨트와 헬멧 착용에 관한 엄격한 법, 그리고 음주운전에 관한 규제 등을 통해 생명을 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부 재원도 마련할 수 있다는 것.

실제로 크루그 국장은 케냐에서 지역 경찰과 협조해 최초로 속도감시 카메라 2대를 도입했더니, 속도가 줄어들면서 사망자도 절반으로 줄었고, 벌금으로 돈도 벌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WHO는 또한 수상운송과 관련한 허술한 법이 최근 탄자니아에서와 같은 침몰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과적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선박 정비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