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에 ‘타이완 F16 개량 보복’ 나서나

中, 美에 ‘타이완 F16 개량 보복’ 나서나

입력 2011-09-24 00:00
업데이트 2011-09-2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록히드 마틴, 인민이 반대 할 것” 美 국채 대량 매각 시나리오도

이미지 확대
미국과 중국 관계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중국이 미국의 타이완 무기 판매와 관련해 보복 조치에 나설 움직임마저 보이는 등 미국에 대해 전방위 공세를 펼치고 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22일(현지시간) 뉴욕 유엔총회에 참석해 미국에 포문을 열었다. 그는 “미국은 중·미 관계, 중국과 타이완 간 평화 및 안정을 유지하려면 타이완에 대한 무기 판매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면서 “타이완 문제는 중국의 주권, 안전 및 이해 관계가 걸린 문제인 만큼 미국은 중·미 관계에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극도로 조심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 부장의 경고는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전날 타이완에 F16 A/B 전투기 성능 개선 사업 등을 포함해 모두 58억 5000만 달러(약 6조 8000억원) 규모의 무기를 판매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미국에 대해 가시적인 보복 조치를 내놓을 공산이 크다. 우선 지난해 초 미국이 타이완에 대해 UH60M 블랙호크 헬기 60대 등 64억 달러 규모의 무기를 판매한다고 밝힌 직후 중·미 군사 교류 프로그램 일부를 중단했던 만큼 이와 비슷한 조치를 내놓으며 압박의 강도를 높여나갈 전망이다.

특히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은 무기 판매의 주 계약자인 록히드 마틴을 겨냥해 “누구든, 어떤 회사든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손해를 끼친다면 중국 인민의 결연한 반대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혀 해당 기업에 대한 보복 의지도 내비쳤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의회가 중국의 위안화 ‘환율 조작 의혹’을 다시 제기하며 중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한 ‘공정무역을 위한 환율 개혁 법안’의 상원 통과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경제 분야 갈등도 재현될 조짐이 있다. 이럴 경우 최대 채권국인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무더기로 내다팔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나온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갈등이 오래가지 않고 ‘소멸’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오는 11월 하와이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후진타오 국가주석의 방미 등을 앞두고 미국은 타이완이 강력히 요구한 F16 C/D 신형 전투기를 판매 목록에서 제외하는 등 ‘어느 정도’ 성의를 보였다는 것이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1-09-24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