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크마화 체제 복귀, 뱅크런·금융기관 파산 가능성 상존”
그리스 정부가 유럽연합(EU) 구제금융안에 대한 국민투표 계획을 철회하고 신임투표를 통과하면서 정국 혼란은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아직 재정위기와 관련된 ‘최악의 시나리오’는 끝나지 않았다고 전문가들이 분석했다.5일(현지시각) CNN머니 인터넷판에 따르면 국제 컨설팅 업체 IHS글로벌인사이트는 그리스가 단기적으로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에서 탈퇴해 드라크마화(貨) 체제로 돌아갈 가능성이 약 33%인 것으로 평가했다.
스위스 금융기업 UBS의 조지 매그너스 선임 경제자문위원도 그리스가 유로존을 2년 내에 탈퇴할 가능성이 50%, 2016년까지 탈퇴할 가능성은 80%정도인 것으로 전망했다.
만일 그리스 정부가 채무불이행(디폴트)과 유로존 탈퇴를 선언하면 주변국의 지원이 끊긴 상태에서 유로화 부족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예금주들의 대규모 예금인출(뱅크런)과 이에 따른 금융기관 파산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더이상 빚을 질 수 없고 ‘버는 것 만큼만 써야하는’ 상황이 닥치면 그리스 정부는 대대적인 공공부문 감원 등을 통해 혹독한 긴축정책을 펼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실업률은 15∼20%로 치솟을 수 있다.
특히 이런 상황에서 그리스가 수출 활성화를 위해 드라크마화를 저평가된 상태로 유지한다면 채권자들과 그리스 금융기관 예금주들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파장은 그리스 내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스가 유로존을 탈퇴한다는 기미가 보이는 즉시 ‘다음 타자’로 지목된 이탈리아와 스페인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이들 국가들은 국채금리가 폭등하면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 질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그리스 후폭풍이 유럽 전체로 확산하면 유럽에 한 해 4천억달러 규모를 수출하는 미국 등 세계 다른 국가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물론 이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그 사이에 그리스 사태의 여파를 차단하기 위한 각종 정치·경제적 조치가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유럽이 이미 그리스에 막대한 투자금과 차관을 쏟아부었기 때문에 유럽중앙은행(ECB)의 적극적 개입을 압박하는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