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국방 ‘군사충돌 방지’ 공감대

美·中 국방 ‘군사충돌 방지’ 공감대

입력 2011-12-09 00:00
업데이트 2011-12-09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곳곳에서 마찰을 빚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차관급 국방회담을 통해 일단 ‘충돌방지’에 의견을 모았다. 주요 2개국(G2) 간 군사 분야의 격돌은 결국 양쪽 모두에게 이익보다는 손해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8일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베이징에서 비공개로 열린 제12차 미·중 국방회담에서 미국 측 대표단장인 미셸 플러노이 국방차관은 “양국이 충돌을 피할 수 없다는 관점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측 카운터파트인 마샤오톈(馬曉天) 부총참모장도 “건강하고 안정적인 양군 관계를 건설하는 것은 양국의 공통이익에 부합한다.”며 지속적인 소통을 제안했다.

지난 9월 미국이 타이완에 58억 5000만 달러(약 6조 6000억원) 어치의 무기판매 계획을 발표한 이후 중국이 ‘군사교류 중단’ 등을 경고하면서 강력 반발했지만 이번 회담은 예정대로 진행됐다. 내년 권력교체를 앞두고 미·중 군사관계의 악화를 바라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미국은 국방부와 국무부는 물론 합동참모본부, 태평양사령부, 해·공군 관계자 등이 대거 참석해 중국 측 입장을 탐색하느라 분주했다.

양측 모두 ‘충돌’을 경계했지만 각론에선 예외 없이 ‘파열음’이 삐져나왔다.

마 부총참모장은 특히 3가지 장애물을 거론하면서 미국 측에 강력한 ‘경고음’을 내보냈다. 그는 대(對)타이완 무기판매, 양국 군사교류를 제한하는 각종 법률, 군용기와 군함의 빈번한 대(對)중 정찰 등을 양군 관계 발전을 막는 ‘3대 장애물’로 꼽은 뒤 “빨리 이런 장애물을 없애야 한다.”고 촉구했다. 플러노이 차관은 항공모함 운용계획을 포함한 중국 군사력 확장의 투명성 제고를 강력하게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에서는 또 호주기지 병력 배치 등 미국의 아시아 중시 정책도 주요 사안으로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플러노이 차관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미국은 중국 봉쇄를 추구하지 않으며, 중국을 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을 중국 대표단에 확실히 밝혔다.”고 말해 중국 측의 문제제기가 있었음을 숨기지 않았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12-09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