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명 댓글 부대 가동 베이징시 인터넷 여론 조작”

“200만명 댓글 부대 가동 베이징시 인터넷 여론 조작”

입력 2013-01-19 00:00
수정 2013-01-19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경보 “루웨이 부시장 지시”

중국 당국이 인터넷 ‘알바 부대’를 동원해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 등의 여론조작에 나서고 있다. 댓글 한 건당 5마오(毛·0.5위안·약 85원)씩 받아 ‘우마오당’(五毛黨)으로 불려온 여론조작 집단의 실체가 일부 드러난 것이다.

18일 신경보에 따르면 루웨이(?) 베이징시 부시장은 전날 열린 선전부장 회의에서 베이징 지역의 선전 및 홍보 업무 관련자 200여만명이 의무적으로 웨이보 계정을 개설해 핫이슈 등의 여론을 제대로 이끌라고 주문했다. 루 부시장은 “웨이보에서 제기되는 핫이슈 등에 활발하게 의견을 개진해 긍정적인 여론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신문은 루 부시장의 말을 인용해 베이징시의 공식적인 선전 관련 인력이 6만여명에 이르고 자원봉사 등으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 200여만명에 이른다고 소개했다. 회의에서는 “업계가 자율적으로 불순한 여론을 걸러내는 등 사회감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인터넷업계의 자발적인 협조를 강조하기도 했다. 네티즌들은 이 같은 소식에 들끓고 있다. 한 네티즌은 관련기사 댓글을 통해 “이젠 웨이보에서도 당국의 목소리만 넘쳐나겠다”고 비아냥댔다. 또 다른 네티즌은 “베이징에만 200여만명이라면, 전국적으로는 얼마나 많겠느냐”며 “인구비례로만 따져도 1억 3000여만명이 당국의 ‘나팔수’ 역할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중국은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전국적으로 인터넷 실명제를 실시하고 있다. 베이징시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 급증하자 휴대전화 실명제까지 도입할 태세이다. 당국의 이 같은 인터넷 통제는 네티즌들의 힘이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연일 웨이보와 포털 게시판 등을 통해 부패공직자 등을 폭로하고 있다. ‘보시라이 스캔들’ 등에서 웨이보는 정보 확산의 통로가 됐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01-1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