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안 투명성·절차에 문제 우려” 벤트렐 국무부 부대변인 밝혀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북한에서 적대 범죄 행위 혐의로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은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의 사면과 석방을 공식적으로 촉구했다.패트릭 벤트렐 국무부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해외에 있는 미국 시민의 안녕과 안전보다 더 중대한 우선순위는 없다”면서 “북한 당국에 배씨에 대한 사면과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서) 우리의 이익대표국 역할을 하는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이 배씨와 몇 차례 접촉했지만 사안의 투명성이 없었다”면서 “투명성과 절차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우려가 있는 만큼 배씨가 석방돼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그는 배씨 석방을 위한 특사 파견 계획에 대해서는 “전직 대통령들이 대변인을 통해 (북한에) 가지 않을 것이라는 뜻을 확인했다”면서 “지금으로선 북한에 석방을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우리는 이익대표국 스웨덴을 통해 지속적으로 접촉을 추진할 것이고 필요하다면 북한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말해 경우에 따라 외교 채널을 가동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측은 이날 방북 계획이 없다고 공식 밝혔다. 디나 콘질레오 카터 전 대통령의 대변인은 “카터 전 대통령은 북한으로부터 초청을 받은 적도, 북한을 방문할 계획도 없다”고 부인했다.
한편 배씨의 여동생 테리 정은 이날 CNN 인터뷰에서 “오빠는 간첩이 아니다”라며 “오빠는 지난해에도 다섯 차례 방북했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이번에도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의심할 이유가 없었다”고 말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5-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