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여성 각료 “과거엔 위안부제도 합법”

日 여성 각료 “과거엔 위안부제도 합법”

입력 2013-05-24 00:00
업데이트 2013-05-24 16: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나다 행정개혁상, 망언 대열 합류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일본유신회 대표 겸 오사카 시장의 ‘위안부 정당화’ 발언 파문이 가시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아베 내각의 여성 각료가 과거 일본군 위안부제도는 합법이었다는 취지의 망발을 늘어놓았다.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나다 도모미(稻田明美) 행정개혁담당상은 24일 기자회견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위안부제도라는 것 자체가 슬픈 것이지만 전시중엔 합법이었다는 것도 사실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발언은 ‘당시에는 위안부가 필요했다’는 하시모토 시장의 망언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이나다 행정개혁상은 “(위안부 제도가) 지금이든 전시중이든 여성 인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임에는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변호사 출신의 이나다 행정개혁상은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등 아베 각료들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를 놓고 한국, 중국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와중에 지난 달 28일 혼자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버젓이 강행했다.

그는 2007년 6월 일본 우익인사들이 워싱턴 포스트에 ‘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는 없다’는 내용의 의견광고를 냈을 때 찬동자로 이름을 올렸다.

그는 2005년 한 방송에서 “도쿄재판(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도조(도조 히데키) 씨가 ‘국민에 대해 패전 책임은 지겠지만, 국제법상 잘못한 것은 없다’고 말했는데 정말 옳은 말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