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주택시장 과열과 이에 따른 위험을 경고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이 12일 보도했다.
IMF는 11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주택가격 지표를 통해 여러 국가에서의 주택가격이 역사적 평균치를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IMF는 이미 고공행진 중인 전 세계 집값이 더 뛰면서 경제 안정성을 위협하는 주된 요인으로 등장했고, 주택시장 과열을 통제하려는 일부 국가의 노력은 제한적 성과만을 거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민 IMF 부총재는 “주택시장 과열을 통제하기 위한 정책 수단을 각국이 아직도 개발 중”이라며 “이것이 나태함의 핑계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주 부총재는 “호주, 벨기에, 캐나다, 노르웨이, 스웨덴 등 많은 나라에서 소득 및 임대료와 비교한 주택가격이 역사적 평균치를 훨씬 웃돌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적 불황이 시작되면서 각국 중앙은행들은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으로 인하했고, 이는 곧 주택가격을 경제에 위협이 되는 수준까지 끌어올렸다고 IMF는 분석했다.
캐나다는 소득과 비교한 주택가격이 장기 평균치보다 33% 올랐고 임대료와 비교한 주택가격은 장기 평균치보다 87%가 급등했다.
영국의 주택가격은 소득 대비 27%, 임대료 대비 38%가 상승했다.
IMF가 새로 발표한 지표로는 전체적인 주택가격은 1년 전보다 3.1%가 올랐고 특히 신흥국에서의 상승세가 두드러져 필리핀에서는 10%, 중국에서는 9%, 브라질에서는 7%가 각각 뛰었다.
반면 경기침체가 이어지는 유럽의 주변국들은 집값이 큰 폭으로 내렸다. 그리스는 1년 전보다 7%, 이탈리아는 6.6%, 스페인은 5%가 각각 하락했다.
주 부총재는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가격이 대공황 당시의 급격한 조정에서 회복되고 있고, 또 다른 지역에서는 이전 낙폭을 완전히 만회하지는 못했지만,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집값을 잡기 위한 정책 수단들이 새로운 것들이라고 해도 즉시 시행돼야 한다며 집값과 주택구매자의 소득에 따른 주택담보대출비율제한, 위험 대출에 대한 은행 자본요구조건 강화, 외국인들의 주택투자 억제를 위한 인지세 도입 등의 수단을 검토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미국의 주택가격은 가파르게 오르고는 있지만, 소득 대비로는 장기 평균치를 여전히 13.4% 밑돌고 있고, 임대료 대비로는 2.6% 높은 수준이어서 고평가되지는 않았다고 IMF는 분석했다.
또 주택가격이 가장 싼 곳은 일본으로 장기 평균치를 소득 대비로는 41%, 임대료 대비로는 38% 밑돌았고, 독일과 에스토니아도 장기 평균치를 10% 넘게 하회해 역시 집값이 싼 지역으로 분류됐다.
한국은 지난해 4분기 집값이 소득 대비로는 장기 평균치를 40% 가까이 밑돈 반면 임대료 대비로는 소폭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IMF는 11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주택가격 지표를 통해 여러 국가에서의 주택가격이 역사적 평균치를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IMF는 이미 고공행진 중인 전 세계 집값이 더 뛰면서 경제 안정성을 위협하는 주된 요인으로 등장했고, 주택시장 과열을 통제하려는 일부 국가의 노력은 제한적 성과만을 거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민 IMF 부총재는 “주택시장 과열을 통제하기 위한 정책 수단을 각국이 아직도 개발 중”이라며 “이것이 나태함의 핑계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주 부총재는 “호주, 벨기에, 캐나다, 노르웨이, 스웨덴 등 많은 나라에서 소득 및 임대료와 비교한 주택가격이 역사적 평균치를 훨씬 웃돌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적 불황이 시작되면서 각국 중앙은행들은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으로 인하했고, 이는 곧 주택가격을 경제에 위협이 되는 수준까지 끌어올렸다고 IMF는 분석했다.
캐나다는 소득과 비교한 주택가격이 장기 평균치보다 33% 올랐고 임대료와 비교한 주택가격은 장기 평균치보다 87%가 급등했다.
영국의 주택가격은 소득 대비 27%, 임대료 대비 38%가 상승했다.
IMF가 새로 발표한 지표로는 전체적인 주택가격은 1년 전보다 3.1%가 올랐고 특히 신흥국에서의 상승세가 두드러져 필리핀에서는 10%, 중국에서는 9%, 브라질에서는 7%가 각각 뛰었다.
반면 경기침체가 이어지는 유럽의 주변국들은 집값이 큰 폭으로 내렸다. 그리스는 1년 전보다 7%, 이탈리아는 6.6%, 스페인은 5%가 각각 하락했다.
주 부총재는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가격이 대공황 당시의 급격한 조정에서 회복되고 있고, 또 다른 지역에서는 이전 낙폭을 완전히 만회하지는 못했지만,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집값을 잡기 위한 정책 수단들이 새로운 것들이라고 해도 즉시 시행돼야 한다며 집값과 주택구매자의 소득에 따른 주택담보대출비율제한, 위험 대출에 대한 은행 자본요구조건 강화, 외국인들의 주택투자 억제를 위한 인지세 도입 등의 수단을 검토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미국의 주택가격은 가파르게 오르고는 있지만, 소득 대비로는 장기 평균치를 여전히 13.4% 밑돌고 있고, 임대료 대비로는 2.6% 높은 수준이어서 고평가되지는 않았다고 IMF는 분석했다.
또 주택가격이 가장 싼 곳은 일본으로 장기 평균치를 소득 대비로는 41%, 임대료 대비로는 38% 밑돌았고, 독일과 에스토니아도 장기 평균치를 10% 넘게 하회해 역시 집값이 싼 지역으로 분류됐다.
한국은 지난해 4분기 집값이 소득 대비로는 장기 평균치를 40% 가까이 밑돈 반면 임대료 대비로는 소폭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