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항공사도 중국에 굴복... ‘대만표기’요청 결국 수락

호주항공사도 중국에 굴복... ‘대만표기’요청 결국 수락

입력 2018-06-05 19:25
업데이트 2018-06-05 19: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주 콴타스 항공사 여객기 콴타스항공 홈페이지=연합
호주 콴타스 항공사 여객기
콴타스항공 홈페이지=연합
대만을 중국 자치주로 표기하라는 중국 당국의 압박에 따르지 않던 호주 항공사가 결국 중국의 요구를 수용했다. 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전날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연례 회의에서 호주 콴타스항공 앨런 조이스 대표는 “우리는 (중국의) 요구사항을 따를 방침”이라고 밝혔다.

중국 민항총국(CAAC)은 지난 4월 36개 외국 주요 항공사에 공문을 보내 대만과 홍콩, 마카오가 중국과 별개 국가인 것처럼 인식될 수 있는 홈페이지 및 홍보 자료상의 표현들을 한 달 내에 삭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부분의 항공사가 중국 당국의 요구를 수용했으나, 유나이티드항공과 아메리칸항공, 델타항공 등 미국 항공사들과 호주 국적항공사인 콴타스는 지난달 말까지 중국의 요구에 따르지 않았다.

전날 콴타스항공이 대만 표기 수정 요구를 수용함에 따라, 이제 미국 항공사들만이 중국 당국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 항공사로 남아 있다. 다만 콴타스항공 측은 IT 기술상 문제로 대만 표기 수정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당국도 이를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IATA 연례 회의에서 더글러스 파커 아메리칸항공 최고경영자(CEO)는 대만 표기 수정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는 중국 정부가 아닌 미국 정부의 방침을 따를 뿐”이라고 답했다. 지난달 미국 백악관은 중국 항공당국의 요구에 대한 성명을 내고 “이는 ‘전체주의적 난센스’(Orwellian nonsense)이며, ‘정치적 교정’(political correctness)을 강요하려는 기도에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반발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 당국은 중국에 진출한 44개 외국 항공사가 모두 대만 표기 방식을 중국 자치령으로 수정하기로 했다고 밝혀, 미국도 중국의 요구를 암묵적으로 수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콴타스항공의 대만 표기 논란은 호주와 중국 두 나라의 설전으로 이어졌다.

줄리 비숍 호주 외무장관은 이날 이메일 성명에서 “민간 기업은 정부의 정치적 압력을 받지 않고 사업을 영위해야 한다”며 “콴타스 항공의 웹사이트 표기는 기업 스스로 결정할 문제”라고 중국 정부를 비판했다.

이에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홍콩, 대만, 마카오는 언제나 중국의 일부였으며 이는 객관적 사실이자 국제적 합의”라며 “이러한 문제는 기술적 문제가 아닌, 중요한 정치적 이슈”라고 반박했다.

중국과 호주의 관계는 과거 어느 때보다 좋지 않은 상태에 놓여 있다. 호주는 지난해 말 중국의 영향력 차단을 위한 목적으로 시민단체에 대한 외국인 기부행위를 금지하고, 외국을 위해 활동하는 로비스트의 등록을 의무화했다. 이어 올해 초에는 중국 등을 겨냥해 외국인의 부동산 투자 규제를 강화하는 조처를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