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조치로 확산 막아”… WHO, 또 노골적 중국 편들기

“中 조치로 확산 막아”… WHO, 또 노골적 중국 편들기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2-05 23:50
업데이트 2020-02-06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 총장 당선 밀어준 중국 눈치보는 듯…교역 제한한 일부 선진국 비난 발언도

이미지 확대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EPA 연합뉴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EPA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컨트롤타워’인 세계보건기구(WHO)가 연일 전염병 발원지인 중국을 감싸는 듯한 행보를 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이 2017년 WHO 사상 첫 아프리카 출신 총장으로 당선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한 중국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 집행이사회 행사에서 “중국의 조치로 신종 코로나가 더 심각하게 해외로 확산하는 것을 막았다”면서 “발병 사례의 99%가 중국에서 일어났다. 다른 나라에서는 176건밖에 없었다”고 강조했다.

되레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일부 부유한 국가가 발병 사례 자료를 공유하는 데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WHO가 중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발병 사례의 38%만 보고서를 제출받았다”면서 “이들 국가가 능력이 부족해서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 더 나은 데이터가 없으면 우리가 적절한 권고를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에 대한 여행과 교역 제한에 나서서도 안 된다고 요구했다. 그는 “지금까지 대중국 제한 조치에 나선 국가가 22개국이나 된다”면서 “이런 제약은 공포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WHO는 신종 코로나 발생 뒤로 시종일관 중국을 두둔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신종 코로나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다는 점과 그가 적극적으로 사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이라고 거듭 칭찬했다.

에티오피아 보건부·외교부 장관을 지낸 거브러여수스는 중국 출신인 마거릿 챈 전 WHO 사무총장이 에볼라 대처 미흡으로 물러난 뒤 후임으로 선출됐다. 선거 당시 중국은 앞으로 10년간 600억 위안(약 10조원)을 WHO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간접 지원했다. 지난달 28일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고자 중국을 방문했을 때도 첫 일정으로 전염병 현장이 아니라 시 주석이 있는 베이징 인민대회당을 찾아가 눈총을 샀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20-02-06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