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코로나19 기원 조사하겠다” 중국에 연구팀 파견(종합)

WHO “코로나19 기원 조사하겠다” 중국에 연구팀 파견(종합)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6-30 09:32
업데이트 2020-06-30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로이터 연합뉴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로이터 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기원을 조사하기 위해 조사팀을 다음 주 중국에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2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바이러스의 출처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조사팀의 중국 파견 계획을 공개했다.

그는 조사팀의 중국 방문 조사를 통해 “바이러스가 어떻게 시작했는지,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또 코로나19 첫 발병 보고 이후 누적 확진자가 전 세계적으로 1000만명을 넘고 누적 사망자는 50만명을 넘어섰다고 전했다.

그러나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아직 종식 근처에도 못 미쳤다며 “많은 나라가 어느 정도 진전을 이뤘지만 팬데믹은 가속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팬데믹이 국제 연대를 가능하게 했지만, 동시에 잘못된 정보와 코로나19의 정치화 같은 문제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가 간은 물론, 국가 내에서도 분열이 있다고 언급하며 “이런 말을 하게 돼서 유감이지만 아직 최악은 오지 않았다. 이 같은 환경과 조건에서 우리는 최악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리핑에 배석한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에 대해 중국을 비하하는 ‘쿵 플루’(kung flu)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과 관련,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언어를 사용할 것을 촉구했다.

‘쿵 플루’란 중국의 전통무술인 ‘쿵후’(kung fu)의 철자에 ‘flu’를 집어넣어 바꾼 일종의 말장난으로 코로나19가 중국에서 기원했음을 비꼰 표현으로 보인다.

라이언 사무차장은 “많은 사람이 이번 대응에서 부적절한 언어를 사용해왔다”면서 “우리는 우리 앞에 놓인 길, 그리고 우리가 할 필요가 있는 것에 집중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오클라호마주 털사의 BOK센터에서 열린 대선 유세에서 “그것(코로나19)은 역대 어떤 질병보다 많은 이름을 가진 질병이다. 이를 부르는 19∼20개의 다른 이름이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내가 이름을 짓는다면 그것을 ‘쿵 플루’로 부르겠다”고 말했다.

라이언 사무차장은 아울러 부작용이 없고 효과적인 코로나19 백신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성공을 보장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